MAIN😎
소개

GRAMMAR

수업 중 나온 문법적 오류를 정리합니다
@3/13/2025
10AM, SUNNY
HJ. commercial water → bottled
HJ. I went to outside → I went outside
HJ. I don’t borrow my money to my family → lend
borrow vs lend의 차이점:
borrow (빌리다):
다른 사람의 물건을 잠시 사용하기 위해 가져오는 행위
받는 사람의 입장에서 사용하는 동사
예: "Can I borrow your pen?" (펜 좀 빌려도 될까요?)
lend (빌려주다):
자신의 물건을 다른 사람이 사용하도록 주는 행위
주는 사람의 입장에서 사용하는 동사
예: "I will lend you my book" (내가 너에게 책을 빌려줄게)
borrow는 '~에게서 빌리다'라는 의미로, lend는 '~에게 빌려주다'라는 의미로 사용됩니다.
HJ. one-use plastic → single
12PM, SEMIN
HJ. I want to go about marketing → into
HJ. I’m find a job → finding
HJ. He wrote a letter like pet name → using a
HJ. I think Lisa win → would have won
HJ. a lot * money → of
HJ. They care * me → for
HJ. If I close my dad → am close with
HJ. have to decision → decide, make a decide
HJ. dementia person → person with dementia
HJ. decide to anything → decide anything
HJ. Parents can choice → choose
HJ. good behaviour < act
behaviour vs act의 차이점:
behaviour (행동 방식, 태도):
일정 기간 동안 보이는 행동 패턴이나 방식
지속적이고 반복적인 행동을 의미
예: "His behavior at work is always professional" (그의 직장에서의 행동은 항상 전문적이다)
act (행위, 단일 행동):
특정 순간의 개별적인 행동이나 행위
한 번의 구체적인 행동을 지칭
예: "That was a kind act" (그것은 친절한 행동이었다)
behaviour는 전반적인 행동 방식을, act는 개별적이고 구체적인 행동을 나타냅니다.
HJ. I didn’t thought about it → think, haven’t thought
HJ. We can see like people → similar
HJ. recycle organization place < recycling center
HJ. cap of bottle → bottle caps
HJ. It should be more trash can → There, cans
GY. Yes, I am → do
GY. * It going well? → Is
GY. It’s not clear future → It doesn’t have a
GY. I’m major in → majoring, I major
GY. Where did you saw → see
GY. many time fight → fought many time, fought often
GY. not many counter space → encounters
GY. all * money → of the
GY. If I have many time → lots of
many vs much vs a lot of vs lots of의 차이점:
many (가산 명사와 함께 사용):
셀 수 있는 명사와 함께 사용
예: "many books", "many people"
much (불가산 명사와 함께 사용):
셀 수 없는 명사와 함께 사용
예: "much time", "much money"
a lot of (가산/불가산 명사 모두 사용):
보다 일상적이고 비격식적인 표현
가산/불가산 명사 모두에 사용 가능
예: "a lot of books", "a lot of time"
lots of (가산/불가산 명사 모두 사용):
"a lot of"보다 더 비격식적인 표현
구어체에서 자주 사용
예: "lots of friends", "lots of money"
many와 much는 더 형식적인 표현이며, a lot of와 lots of는 일상적인 대화에서 더 자주 사용됩니다.
GY. I will try to * court → go to, sue(고소하다)
GY. 벌레가 생기다 = There would be bugs
GY. I want to trash my home → throw my house away
GY. 시체 = dead body
GY. watch the bin → look for(찾다)
GY. 신고하다 = call police, report to the police
GY. 몸짓, 발짓 = body motion
YJ. just doing studying → jusy studying
YJ. There’s a lot happen in Korea → It happens a lot
YJ. respect their mind < thoughts, opinions
YJ. a lot of sauces → sauce
YJ. gave same flowers for me → to
give for vs give to의 차이점:
give to (권장되는 표현):
물건이나 선물을 누군가에게 직접 전달할 때 사용
수령인을 나타내는 일반적이고 정확한 표현
예: "I gave the book to him" (나는 그에게 책을 주었다)
give for (부적절한 표현):
'for'는 목적이나 이유를 나타내는 전치사이므로 수령인을 나타내기에 부적절
'for'는 '~을 위해'라는 의미로, 목적을 나타낼 때 사용
예: "I gave money for charity" (자선을 위해 돈을 주었다)
선물이나 물건을 누군가에게 전달할 때는 항상 'give to'를 사용해야 합니다.
YJ. many of trash can → many trash can
YJ. It could be the criminal(범죄자) → a crime(범죄)
6PM, YEEUN
JY. 교정기 = braces
JY. be used to vs get used to
be used to vs get used to의 차이점:
be used to (형용사구, ~에 익숙하다):
이미 익숙한 상태를 나타냄
현재 상태나 조건에 대한 친숙함을 표현
뒤에 명사나 동명사가 옴
예: "I am used to waking up early" (나는 일찍 일어나는 것에 익숙하다)
get used to (동사구, ~에 익숙해지다):
익숙해지는 과정을 나타냄
새로운 상황에 적응하는 변화를 표현
뒤에 명사나 동명사가 옴
예: "I am getting used to the new job" (나는 새 직장에 점점 익숙해지고 있다)
be used to는 이미 익숙한 상태를, get used to는 익숙해지는 과정을 나타냅니다.
JY. one year gap < gap-year
SJ. try to * English → study, practice
SJ. 승무원 = flight attendant
SJ. It’s why I taking the class → That’s why I take the class
SY. everytimes → everytime
SY. I applied * → to, for
apply to vs apply for의 차이점:
apply to (신청하다, 지원하다):
기관, 학교, 회사 등에 지원할 때 사용
지원 대상이 되는 조직이나 기관을 나타낼 때 사용
예: "I applied to Harvard University" (나는 하버드 대학교에 지원했다)
apply for (신청하다, 지원하다):
직책, 직위, 프로그램, 서비스 등을 신청할 때 사용
지원하고자 하는 구체적인 대상을 나타낼 때 사용
예: "I applied for the manager position" (나는 매니저 직책에 지원했다)
apply to는 기관이나 조직을, apply for는 구체적인 직책이나 프로그램을 대상으로 할 때 사용합니다.
SY. third grade → year, junior in college
SY. more hard → harder
JY. introduce to me his place → me to his place, his place to me
SJ. learn my stamina → build up
JY. win court → court case
JY. small more → slightly
SJ. get money more than me → earn more money
SY. spouse → partner
spouse vs partner의 차이점:
spouse (배우자):
법적으로 결혼한 관계를 나타내는 공식적인 용어
husband(남편)나 wife(아내)를 포괄하는 표현
주로 공식적인 문서나 법적 맥락에서 사용
예: "Please provide your spouse's information" (배우자의 정보를 제공해 주세요)
partner (파트너):
더 포괄적이고 현대적인 표현
결혼 여부와 관계없이 함께 사는 사람을 지칭
동성 커플이나 비혼 동거 커플도 포함
예: "I'm going on vacation with my partner" (나는 파트너와 휴가를 갈 예정이다)
partner는 더 포용적이고 현대적인 표현으로, 다양한 형태의 관계를 존중하는 용어입니다.
SY. If I’m died → I die
SY. fight * my younger borther → with, against
SY. in my growing time → while I grow up
SY. raise the children good → well
6PM, SUJEE
MB. look into → after
look into vs look after의 차이점:
look into (조사하다, 알아보다):
문제나 상황을 조사하거나 연구하는 것을 의미
무언가를 자세히 살펴보거나 검토할 때 사용
예: "I will look into the matter" (그 문제를 조사해보겠습니다)
look after (돌보다, 보살피다):
누군가나 무언가를 돌보고 책임지는 것을 의미
보호하고 관리하는 행위를 나타냄
예: "Can you look after my cat while I'm away?" (내가 없는 동안 내 고양이를 돌봐줄 수 있나요?)
look into는 조사하는 행위를, look after는 돌보는 행위를 나타냅니다.
MB. 경제적 도움 = financial help, financial support
MB. 배우자 = spouse
MB. throw off → away
throw off vs throw away의 차이점:
throw off (벗어 던지다, 떨쳐버리다):
무언가를 몸에서 벗어서 던지는 행위
추상적으로 걱정이나 부담을 떨쳐버린다는 의미로도 사용
예: "She threw off her coat" (그녀는 코트를 벗어던졌다)
throw away (버리다):
더 이상 필요하지 않은 것을 폐기하는 행위
쓰레기나 불필요한 물건을 처분할 때 사용
예: "Please throw away the trash" (쓰레기를 버려주세요)
throw off는 벗거나 떨쳐내는 행위를, throw away는 완전히 폐기하는 행위를 나타냅니다.
MB. There is many → are
MB. go back to home → go back home
JY. If I were John, I should be a sad situation → would have been
JY. 포기하다 = give up
JY. 분쟁 = dispute
JY. when I * married → got
8PM, CHAEEUN
ES. I wonder your age < I'm curious about
wonder vs be curious about의 차이점:
wonder (궁금하다):
생각에 잠기거나 의문을 가지는 상태를 나타냄
직접적인 목적어를 사용하지 않고 의문문이나 if/whether와 함께 사용
예: "I wonder if she likes me" (그녀가 나를 좋아하는지 궁금하다)
be curious about (궁금하다):
특정 대상에 대한 관심이나 호기심을 나타냄
직접적인 목적어와 함께 사용 가능
예: "I'm curious about your background" (당신의 배경에 대해 궁금합니다)
wonder는 간접적인 의문을 표현할 때, be curious about은 직접적인 호기심의 대상을 명시할 때 사용합니다.
ES. need a English very much → really need English < require using English a lot
MS. John did not * anything → do
ES. Lisa take care of his mother → took
MS. I did it tomorrow morning → will do
@3/12/2025
12PM, WON
SY. quit some time < take some time off
SY. 출산 휴가 = maternity leave
SY. Humans are social person < creatures, animals
SY. good for mother, father and children → both sides, both parties(양쪽 모두에게)
SY. He nothing ask me → asked me nothing, didn’t ask me anything
HJ. don’t want to make bad situation → create a
HJ. 겸손한 = humble
HJ. care my baby → take care of, care about
take care of vs care about의 차이점:
take care of (돌보다, 관리하다):
실제적인 보살핌과 책임을 포함하는 행동
물리적인 돌봄이나 관리를 의미
예: "I take care of my plants by watering them daily" (나는 매일 물을 주며 식물들을 돌본다)
care about (관심을 갖다, 걱정하다):
감정적인 관심이나 걱정을 나타냄
정서적인 애착이나 관심을 의미
예: "I care about your feelings" (나는 네 감정을 신경 쓴다)
take care of는 실제적인 보살핌을, care about은 감정적인 관심을 나타냅니다.
HJ. left out from → excluded(제외된)
HJ. I didn’t put heels → wear
HE. After born a child → having(낳다), giving a birth to(출산하다)
HE. more good → better
HE. low money → get paid less
2PM, YEEUN
SA. 3학년 = third year, junior in college
GE. Me and my friend < My friend and I
GE. 일대일 = one on one
GE. cannot enjoy well → it much
GE. I want to go to sleep → I want to go sleep
JY. one every week → once a
GE. I * hangover → have a
JB. 외동 = only child
SA. she’s life value → her
JY. care * them → for, about
care for vs care about의 차이점:
care for (돌보다, 좋아하다):
1.
돌봄과 보살핌을 제공하는 행동을 의미
2.
누군가나 무언가를 좋아하는 감정을 표현할 때도 사용
예: "I care for my grandmother" (나는 할머니를 돌본다/좋아한다)
care about (관심을 갖다, 걱정하다):
1.
감정적인 관심이나 걱정을 나타냄
2.
중요하게 여기거나 신경 쓰는 것을 표현
예: "I care about the environment" (나는 환경에 관심이 있다)
care for는 돌봄의 행동이나 호감을, care about은 관심이나 걱정의 감정을 나타냅니다.
JY. feel rewarding → rewarded
GE. are working both → both working
GE. womans → women
JY. bright(밝은) → positive(긍정적인)
JY. fight → fought(past tense), think → thought(past tense)
GE. more close relationship < closer
2PM, WON
SH(Y). 국내 여행 = domestic travel
SH(Y). I’m gonna be die → die, be dead
die vs be dead vs pass away의 차이점:
die (동사):
생명이 끝나는 순간의 행위를 나타내는 직접적인 표현
의학적, 공식적인 맥락에서 주로 사용
예: "He died in a car accident" (그는 교통사고로 사망했다)
be dead (형용사):
죽은 상태를 나타내는 표현
생명이 없는 상태를 설명할 때 사용
예: "The plant is dead" (그 식물은 죽었다)
pass away (동사구):
완곡어법으로, 보다 공손하고 부드러운 표현
특히 사람의 죽음을 이야기할 때 예의 바르게 사용
예: "His grandmother passed away peacefully" (그의 할머니는 평화롭게 돌아가셨다)
die는 직접적인 사망의 행위를, be dead는 죽은 상태를, pass away는 공손한 표현으로 사용됩니다.
SH(Y). 경적을 울리다 = honk the horn
SH(Y). Mothers have connection → connections(인맥) < a community
MY. demand more time of us → more of our time
MY. doesn’t want * work → to
MY. white hair → grey(흰머리)
MY. height(길이, 키) → tall guys(키가 큰)
SH(J). hear my words < listen to me, hear me out
SH(J). pros that choose company → advantage of choosing that company
pros vs advantage의 차이점:
pros (장점들):
복수형으로 사용되며, 여러 긍정적인 측면들을 나열할 때 사용
'cons'(단점들)와 대비되어 사용되는 비격식 표현
예: "The pros and cons of working from home" (재택근무의 장단점)
advantage (이점, 장점):
더 공식적이고 전문적인 표현
특정 상황이나 선택에서 얻는 구체적인 이익을 설명할 때 사용
예: "The main advantage of this method is its efficiency" (이 방법의 주된 이점은 효율성이다)
pros는 비격식적이고 여러 장점을 나열할 때, advantage는 더 공식적이고 구체적인 이점을 설명할 때 사용합니다.
SH(J). 사시 = squinty eyes
6PM, CHAEEUN
MJ. I’m going to her marriage → wedding
DH. visiting their working → work place
HB. chlidren having working mom → with, who have
HJ. too much bigger than me → too
HJ. care my children → take care of, care about
take care of vs care about의 차이점:
take care of (돌보다, 관리하다):
실제적인 보살핌과 책임을 포함하는 행동
물리적인 돌봄이나 관리를 의미
예: "I take care of my plants by watering them daily" (나는 매일 물을 주며 식물들을 돌본다)
care about (관심을 갖다, 걱정하다):
감정적인 관심이나 걱정을 나타냄
정서적인 애착이나 관심을 의미
예: "I care about your feelings" (나는 네 감정을 신경 쓴다)
take care of는 실제적인 보살핌을, care about은 감정적인 관심을 나타냅니다.
TW. I agree on her → to
DH. Both of them is needed → are
MB. This is not obligation → obligated
MB. in my inside → inside me, internally
8PM, SEMIN
YJ. for * second time → the
YJ. working in journalist → journalism, as a journalist
YJ. enrolled * this academy → in
YJ. not confidence → confident
YJ. fit with me → for
YJ. interesting in → interested
YJ. in * past → the
YJ. I can flavor a lot → taste many flavors
YJ. mens → men
YJ. just for mom → as a
YJ. care * me → for
YJ. Germany man → German
YJ. It may be very tired → tirinig
YJ. all stopped → stopped it all
TW. I went here → came
TW. too short to get improve → too short to improve
TW. management fee is exist → exists
TW. Even * I’m studying → though
TW. As I getting old → get older
TW. makes money more than me → more money
TW. many time → much
TW. go * kindergarten → to
TW. 출산 휴가 = maternity leave
HJ. Taiwan for exchange student → as an
HJ. almost thing → everything
HJ. If I don’t marriage → marry, get married
HJ. I * born in Seoul → was
HJ. I went to there → I went there
HJ. I asked to mom → my
HJ. care * kid’s education → about
@3/11/2025
6PM, CHAEEUN
JM. planning to go * working holiday → on a
JM. more wide space → wider
TW. district of club → the club district
JM. I feel similar you introduce your hometown → It feels similar to the way you introduce your hometown
JM. except tall → height, how tall it is
JM. childrens → children
JM. speed regulation → limit
JM. I’m not passioned to change the cars → passionate, keen
8PM, BERNARD
YW. was too under pressure → under too much
YW. They always under evalutation < They are always in the public eye
YW. If that was the true → truth
true vs truth의 차이점:
true (형용사):
사실인, 진실된, 참된 상태를 나타내는 형용사
문장에서 형용사로 사용되어 상태나 성질을 묘사
예: "This statement is true" (이 진술은 사실이다)
truth (명사):
진실, 사실 자체를 나타내는 명사
실제 사실이나 진리를 지칭할 때 사용
예: "Tell me the truth" (진실을 말해주세요)
true는 형용사로 '사실인' 상태를, truth는 명사로 '진실' 자체를 의미합니다.
YW. If you don’t want to expel → get expelled
MS. Every time I break up with her → each of them
MS. I’m * same page of him → in the, with
MS. face the fail → failure, the bitter truth
TW. When I found * that → out
find vs find out의 차이점:
find (찾다, 발견하다):
구체적인 물건이나 대상을 찾거나 발견할 때 사용
직접적이고 물리적인 발견을 의미
예: "I found my keys" (나는 내 열쇠를 찾았다)
find out (알아내다, 발견하다):
정보나 사실을 알아내거나 발견할 때 사용
조사나 탐구를 통한 발견을 의미
예: "I found out the truth" (나는 진실을 알아냈다)
find는 물리적 발견을, find out은 정보나 사실의 발견을 나타냅니다.
TW. just in my think → thought, opinion
@3/10/2025
12PM, YEEUN
HJ. same age * → as me(나와 같은)
HJ. convince vs persuade
convince vs persuade의 차이점:
convince (확신시키다):
논리와 이성적인 근거를 통해 누군가의 생각을 바꾸게 하는 것
주로 '마음'이나 '생각'을 바꾸는 데 중점
예: "The evidence convinced me that he was innocent" (증거가 나로 하여금 그가 무죄라고 확신하게 했다)
persuade (설득하다):
감정, 논리, 혹은 둘 다를 사용하여 누군가가 행동을 취하도록 하는 것
주로 '행동'을 이끌어내는 데 중점
예: "She persuaded me to join the club" (그녀는 내가 동아리에 가입하도록 설득했다)
convince는 믿음이나 의견의 변화를, persuade는 행동의 변화를 이끌어내는 데 주로 사용됩니다.
HY. talked * wedding → about
HY. outside wedding → outdoor
HY. wedding propose → proposal
SH. close * each other → to
HY. without your notice → you knowing
HY. food nap → coma
SH. If I possible → If possible(가능하면)
SH. 빈 속으로 자다 = sleeping on an empty stomach
SH. one of coffee a day → a cup
HJ. put to sleep → anaesthesia(마취), anaesthetize(마취시키다)
2PM, YEEUN
JB. ever → never
ever vs never의 차이점:
ever (언제라도, 이제까지):
긍정문이나 의문문에서 '언제라도, 이제까지'의 의미로 사용
예: "Have you ever been to Paris?" (파리에 가본 적 있나요?)
never (결코 ~않다):
부정적인 의미를 나타내는 부사
긍정문에서 '전혀 ~하지 않다'를 의미
예: "I have never been to Paris" (나는 파리에 가본 적이 없다)
ever는 경험이나 가능성을 물을 때, never는 완전한 부정을 표현할 때 사용합니다.
MY. We didn’t learn * swim → how to
SH. learneded → learnt
MY. good to my feet → for
good to vs good for의 차이점:
good for (좋다, 이롭다):
어떤 것이 다른 것에게 이익이나 혜택을 주는 경우 사용
건강, 복지, 발전 등에 도움이 되는 경우
예: "Exercise is good for your health" (운동은 건강에 좋다)
good to (잘 대하다, 친절하다):
사람들 간의 행동이나 대우를 설명할 때 사용
누군가가 다른 사람에게 친절하게 대하는 것을 의미
예: "He is always good to his friends" (그는 항상 친구들에게 잘 대한다)
따라서 "good for my feet"가 올바른 표현입니다 - 발에 이롭다는 의미이기 때문입니다.
MY. lose my interesting → interest
JY. I had quit → I quit
JY. I tried swim → swimming
MY. talk * each other → to
JB. popular → trend
popularity vs trend vs fashion의 차이점:
popularity (인기, 대중성):
많은 사람들에게 좋아하거나 선호되는 상태를 의미
일반적으로 더 오래 지속되는 특성
예: "K-pop's popularity has grown worldwide" (케이팝의 인기가 전세계적으로 성장했다)
trend (경향, 추세):
특정 시기에 나타나는 변화나 발전의 방향
중기적인 기간 동안 지속되는 패턴
예: "The current trend in social media is short-form videos" (소셜 미디어의 현재 추세는 숏폼 비디오이다)
fashion (유행):
특정 시점에서 인기 있는 스타일이나 방식
상대적으로 빠르게 변화하는 경향
예: "Bell-bottom pants are coming back in fashion" (나팔바지가 다시 유행하고 있다)
popularity는 지속적인 대중적 선호도를, trend는 중기적 변화의 방향을, fashion은 일시적인 유행을 나타냅니다.
SH. chain → franchise
chain vs franchise의 차이점:
chain (체인점):
동일한 회사가 직접 소유하고 운영하는 여러 지점을 의미
중앙 통제가 더 강하고 운영 방식이 더 획일적
예: "Starbucks is a chain of coffee shops" (스타벅스는 커피숍 체인이다)
franchise (프랜차이즈):
브랜드와 사업 모델을 다른 사업자에게 라이센스하는 형태
각 점포는 독립된 사업자가 소유하고 운영
예: "McDonald's operates through a franchise system" (맥도날드는 프랜차이즈 시스템으로 운영된다)
chain은 직접 소유/운영 방식을, franchise는 라이센스 방식의 사업 확장을 의미합니다.
SH. than I expect → more than I expected
SH. scared vs scary
scared vs scary의 차이점:
scared (형용사):
두려움을 느끼는 주체의 감정을 설명
무서워하는 사람이나 동물의 상태를 표현
예: "I am scared of spiders" (나는 거미를 무서워한다)
scary (형용사):
두려움을 유발하는 대상이나 상황을 설명
다른 사람에게 공포를 주는 것을 표현
예: "That movie was scary" (그 영화는 무서웠다)
scared는 '무서워하는' 상태를, scary는 '무서운' 성질을 나타냅니다.
ES. When I am grown up → grow
MY. pass by → away
pass by vs pass away의 차이점:
pass by (지나가다):
어떤 것이나 장소를 '지나가다'의 의미
시간이나 공간적으로 무언가를 통과하는 것을 의미
예: "I pass by this cafe every morning" (나는 매일 아침 이 카페를 지나간다)
pass away (돌아가시다):
사람이 '사망하다'를 의미하는 완곡어법
직접적인 'die' 대신 공손하게 표현할 때 사용
예: "His grandfather passed away last year" (그의 할아버지는 작년에 돌아가셨다)
pass by는 물리적인 이동을, pass away는 사망을 의미하는 공손한 표현입니다.
SH. I * shocked → was
SH. I haven’t thought about the death → SH. I haven’t thought about death
MY. ache → pain
ache vs pain의 차이점:
ache (통증):
지속적이고 둔한 통증을 의미
주로 신체 부위와 함께 사용 (headache, stomachache)
덜 심각하고 만성적인 통증을 나타냄
예: "I have a headache" (머리가 아프다)
pain (통증, 고통):
더 강렬하고 날카로운 통증을 의미
신체적, 정신적 고통 모두를 포함
더 심각하고 급성 통증을 나타냄
예: "I'm in severe pain" (심한 통증이 있다)
ache는 일반적으로 더 약하고 지속적인 통증을, pain은 더 강하고 급성 통증을 나타냅니다.
ES. selective → elective(선택적인)
MY. avoid topic → avoidable
6PM, SUJEE
EB. I * sensitive → am
EB. AI have limit → has limitation
EB. convenience → convenient
EB. AI thinks itself → by itself(혼자), on its own(스스로)
EB. *하게 하지 않을 것이다 = I wouldn’t let *
EB. I * diet → am on a
DH. AI has an independence idea → independent
DH. verify → to check
DH. 배터리가 닳다 = run out of battery
DH. 예산 = budget
DH. funny vs fun
funny vs fun의 차이점:
funny (형용사):
웃음을 유발하는, 우스운, 코믹한
주로 농담, 상황, 사람의 유머러스한 특성을 설명
예: "That joke was funny" (그 농담은 웃겼다)
fun (명사/형용사):
즐거운, 재미있는 활동이나 경험
즐거움이나 오락적인 특성을 나타냄
예: "The party was fun" (파티는 즐거웠다)
funny는 웃음을 유발하는 특성을, fun은 전반적인 즐거움을 나타냅니다.
TW. I don’t scared of death → am not
TW. The US is not communism → a communist country
TW. in a scale of nation → at a national level
8PM, BERNARD
HJ. wouldn’t * that much lonely → be
HJ. I * always flirting → am
HJ. Granny death with sleeping → passed away while she was sleeping, passed away in her sleep
die vs be dead vs pass away:
die (죽다):
가장 직접적이고 직설적인 표현
의학적/법적 상황이나 사실적인 맥락에서 사용
예: "He died in the accident"
be dead (죽어있는 상태):
죽음의 상태를 나타내는 표현
현재 상태를 설명할 때 사용
예: "The plant is dead"
pass away (돌아가시다):
가장 공손하고 완곡한 표현
특히 사람의 죽음을 이야기할 때 예의 바르게 사용
예: "Her grandmother passed away peacefully"
사용 맥락:
die: 동물, 식물, 또는 공식적/의학적 상황
be dead: 현재 상태를 객관적으로 설명할 때
pass away: 사람의 죽음을 예의 바르게 언급할 때
YW. will be declined → decline
be declined vs decline의 차이점:
1.
be declined (수동태):
다른 주체에 의해 거절당하는 것을 의미
예: My application was declined (내 지원서가 거절당했다)
2.
decline (능동태):
주체가 스스로 감소하거나 하락하는 것을 의미
예: The number of students will decline (학생 수가 감소할 것이다)
따라서 "will be declined"는 누군가에 의해 거절당할 것이라는 의미이고, "decline"은 자연스럽게 감소할 것이라는 의미입니다.
YW. I will * too stressed → be, get
YW. I was look forward to go to nice cafe → looking forward to going to a nice cafe
KI. People who know their death < Those who know their own death, The peopel who know when they die
KI. All of my body was pain → I was in pain all over my body, My whole body hurt, I was sick all over
TW. I was want to → wanted
SJ. When * 12 years old → I was
SJ. I can’t care him → take care of, care about
take care of vs care about의 차이점:
take care of (돌보다, 관리하다):
실질적인 보살핌과 관리를 의미합니다
책임을 가지고 무언가를 처리하거나 관리하는 것을 뜻합니다
예: "I'll take care of the kids while you're away" (당신이 없는 동안 아이들을 돌볼게요)
care about (신경쓰다, 걱정하다):
감정적인 관심이나 걱정을 의미합니다
누군가나 무언가에 대해 관심을 갖거나 중요하게 여기는 것을 뜻합니다
예: "I care about your feelings" (나는 당신의 감정을 신경 씁니다)
take care of는 실제적인 행동과 책임을, care about은 감정적인 관심을 나타냅니다.
@3/9/2025
12PM, SEMIN
미선(MS), 희진(HJ), 소영(S), 수안(Y)
S. came to here → came here
S. 기한을 어기다 = didn’t meet the deadline
S. 잔소리 = nagging
S. grown man < grown-ups
S. I go to climbing → I go climbing
S. There was an open for the ticket → opening
S. *를 양도하다 = transfer * to
S. regret to visit Fukuoka → visiting
S. change a new vacuum → change my vacuum to a new one
S. visit to Japan → visit Japan
S. Lunar day → holiday
MS. She taking the things → takes those
MS. when I be obsessed → am
MS. younger 5 years → 5 years younger
MS. take off the subway → get
MS. Yoga make me to do the right posture → MS. Yoga makes me do the right posture
MS. It’s not that big * city → of a
MS. 충분하다 = sufficient, enough
sufficient vs enough의 차이점:
sufficient (형용사):
더 격식적이고 전문적인 맥락에서 사용됩니다.
필요한 만큼의 양이나 정도를 의미합니다.
주로 비즈니스나 학술적 상황에서 사용됩니다.
예: We have sufficient evidence to proceed (진행하기에 충분한 증거가 있습니다)
enough (형용사/부사):
더 일상적이고 비격식적인 표현입니다.
필요한 만큼이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일상 대화에서 자주 사용됩니다.
예: I have enough money to buy lunch (점심을 사기에 충분한 돈이 있습니다)
두 단어 모두 '충분함'을 의미하지만, sufficient는 더 공식적인 상황에서, enough는 더 일상적인 상황에서 사용됩니다.
MS. do a driver’s license → get
MS. drive skill → driving
Y. 대학원 = graduate school
Y. 자제하다 = restrain, control
restrain vs control의 차이점:
restrain (자제하다, 억제하다):
감정이나 행동을 특별히 '억누르거나 제한'하는 의미가 강합니다.
주로 부정적이거나 과도한 반응을 막는 데 사용됩니다.
예: He had to restrain his anger (그는 화를 참아야 했다)
control (통제하다, 조절하다):
상황이나 감정을 '관리하고 조절'하는 의미입니다.
더 일반적이고 중립적인 표현입니다.
예: She learned to control her emotions (그녀는 감정을 조절하는 법을 배웠다)
restrain이 더 강한 제한이나 억제를 의미하는 반면, control은 더 일반적인 관리나 조절을 의미합니다.
Y. I have my younger sister → a
Y. I really lazy → I’m very
Y. in home → at
Y. middle → neutral(중립적인)
Y. I * very worried → am
Y. call to police → call the police, report to the police
Y. 권한 = authority, 허가 = permission
Y. 귀찮다 = bothersome
Y. decline the sleep → decrease the amount of sleep, cut back on sleep, reduce my sleep
Y. Fail day is more than success day → The days I fail are greater than the days I succeed
Y. 자칭 = self-titled
HJ. I love collect → collecting
HJ. I * obsessed with → am
HJ. I hard work out → I work out hard
HJ. How long time do you have to wait → How long do you have to wait
HJ. I challenge about → tried to
2PM, SEMIN
GE. I didn’t notice him → let him notice/know
GE. I usually trip together → travel, go on a trip
GE. I * never meet him again → would
GE. more worse → much
GE. Once ending is same as forever ending → Ending once is the same as ending forever
GE. Decision to broke up → break
GE. not that really → not that much, not really
GE. I want to live free(자유로운) → freely(자유롭게)
GE. In last year → Last year
SH. I’m just junior → still a junior in college
SH. attractful → attractive
SH. I’m not allow him → I won’t
SH. marriage hall → wedding
SH. more worse → much
SH. I don’t want to ruin my life other → because of others
SH. regret about that situation → regret that situation
SH. 남은 = remaining
SH. not * first → at
SH. I don’t want to let him * sad → be
SH. Please drive for me → please drive me
SH. It feels me → It feels like I
SH. It’s not feel scary → It doesn’t
SH. What was most difficulty → the most difficult thing
SH. how to deal * it → with
HJ. 결국에 = eventually
HJ. 전문직 = professional job
HJ. I * afraid of my older sister → was
HJ. experience * first time → things for the first time(처음으로)
HJ. freedom guy → free
HJ. 일탈 = deviation
HJ. 장난꾸러기 = jokester
HJ. Next stage after discharge → Stage after getting discharged
SW. responsible with this → for
SW. because * something → of
SW. manupulating with her feelings → manupulating her feelings
SW. look forward * what I’m → to
JM. 밤늦게 = late at night
JM. both of names → both names
JM. He doesn’t have some female friends - any
JM. encourage to back him to me → get him back
JM. I always be a couple with < dated
JM. 정년 = retirement age
JM. I don’t never used to this → I never got used
JM. older people than me → people older
2PM, JENNY
JY. walking in the nature → walking in nature
WC. The one I want is not the money → The first thing I want is not money
WC. so many blood → much
WC. At night can happen anything → Anything can happen at night
WC. I have a question of you → to
SH. I don’t have any relationship < I’m not in a relationship
SH. The most scary thing → scariest
SH. I can get a forever life → achieve immortality(불멸)
SH. If they are not bite → do
YS. It’s gonna be big money → a lot of
YS. My mom work at bank → works at a bank
YS. 졸다 = doze off
@3/8/2025
10AM, SEMIN
SY. firstly → first, first of all
SY. keeped → kept
SY. I was cheeared 박보검 → cheered for < I was rooting for 박보검
cheer for vs root for:
'cheer for'와 'root for'는 모두 '응원하다'의 의미이지만, 뉘앙스와 사용 맥락이 다릅니다:
cheer for:
실제로 소리를 내거나 박수를 치는 등 물리적인 응원 행위를 의미합니다
주로 직접적이고 즉각적인 응원 상황에서 사용됩니다
예: "The fans cheered for their team at the stadium" (팬들이 경기장에서 팀을 응원했다)
root for:
정서적인 지지나 응원을 의미합니다
장기적이고 지속적인 지지를 나타낼 때 더 자주 사용됩니다
예: "I've been rooting for him since the beginning of his career" (나는 그의 경력 초기부터 그를 응원해왔다)
주요 차이점:
'cheer for'는 더 적극적이고 물리적인 응원을 의미합니다
'root for'는 더 감정적이고 지속적인 지지를 나타냅니다
SY. She is casted 장금이 → was cast as
SY. Japanese can be more get interest → get more interest, be more interested in
SY. I always act like trying to respect them → as if I try
SY. All of the concerns are heading me → headed towards, directed at
SY. not to stare * the tree → at
SY. past person → person in the past, 옛날 사람 = oldie
SW. After being dead → dying, I die
SW. Before passed away → passing
SW. My junior * promoted → got
SW. Another person is cry → cried
SW. If a country is not white people → doesn’t have
SW. The reason why to watch drama → The reason to watch series contents
drama vs series:
drama (드라마): 일반적으로 연속된 이야기를 가진 TV 프로그램을 의미하며, 특히 감정적이거나 극적인 요소가 강조된 작품을 지칭합니다. 예: "Korean drama", "TV drama"
series (시리즈): 여러 에피소드로 구성된 TV 프로그램을 의미하며, 장르에 관계없이 더 포괄적인 용어입니다. 예: "Netflix series", "documentary series"
주요 차이점:
'drama'는 특정 장르를 나타내는 반면, 'series'는 형식을 나타냅니다
'drama'는 주로 극적인 내용의 작품을 의미하지만, 'series'는 모든 종류의 연속물을 포함합니다
한국에서는 'drama'를 더 흔히 사용하지만, 영어권에서는 'series'가 더 일반적입니다
SW. in real → reality
SW. All they are so young → They are all
SW. It’s not a usual situation → typical
usual vs typical vs general:
usual (평소의, 일상적인): 일상적으로 발생하거나 반복되는 것을 의미합니다. 개인이나 특정 상황에서 정기적으로 일어나는 일을 설명할 때 사용됩니다.
예: "This isn't my usual breakfast" (이건 내가 평소에 먹는 아침 식사가 아니다)
typical (전형적인, 대표적인): 특정 그룹이나 상황을 대표하는 특징을 가진 것을 의미합니다. 일반적인 패턴이나 특성을 나타낼 때 사용됩니다.
예: "This is typical Korean food" (이것이 전형적인 한국 음식이다)
general (일반적인, 보편적인): 광범위하게 적용되는 것을 의미합니다. 특정하지 않고 전체적인 개념을 나타낼 때 사용됩니다.
예: "This is a general rule" (이것은 일반적인 규칙이다)
주요 차이점:
'usual'은 개인적이거나 특정 상황의 반복성을 강조합니다
'typical'은 대표성이나 전형성을 강조합니다
'general'은 보편성이나 포괄성을 강조합니다
SW. Something not happen → that doesn’t
SW. All * team members cares me → All the team members take care of me
take care of vs care about:
take care of (돌보다, 관리하다): 실제적인 보살핌이나 관리 행위를 의미합니다. 책임을 지고 무언가를 처리하거나 관리하는 것을 나타냅니다.
예: "I'll take care of the dishes" (내가 설거지를 할게)
care about (신경 쓰다, 걱정하다): 감정적인 관심이나 걱정을 의미합니다. 무언가나 누군가에 대해 관심을 가지고 걱정하는 감정을 나타냅니다.
예: "I care about your feelings" (나는 네 감정을 신경 써)
주요 차이점:
'take care of'는 실제적인 행동과 책임을 포함합니다
'care about'는 감정적인 관심과 걱정을 나타냅니다
'take care of'는 행동적, 'care about'는 감정적입니다
SW. There can be something which I don’t know → things that
SW. I’m not seriously believe → I don't really, I don't take it very seriously
SW. in * dream → my
BK. As time goes * → by
BK. like that people → those, that person
BK. It was * school festival → at a
BK. I don’t * watch something * long time → like to, for a
BK. He was so good actor < such a
BK. on physical theory → in
BK. My spirit is not die → dead
10AM, YEEUN
BW. You don’t need to * me → scare
BW. quite long → for a long time
BW. expand my English → improve
BW. He visit the Korea → He visited Korea
BW. talk with in English → talk to each other in English
DJ. Semester started → The semester has started
NE. 주중 = weekdays
BW. 직접 요리하다 = cook myself
NE. prepare → preparation period(준비 기간)
DJ. very simple than people think → much simpler
NE. taste over health → rather than
NE. 무역 회사 = trading company
DJ. heading to their own home → homes
DJ. commentary vs statement
commentary vs statement:
commentary (논평, 해설): 사건이나 상황에 대한 의견이나 해석을 제공하는 상세한 설명입니다. 주로 분석적이고 주관적인 견해를 포함합니다.
예: "The news anchor provided insightful commentary on the election results" (뉴스 앵커는 선거 결과에 대한 통찰력 있는 논평을 제공했다)
statement (진술, 성명): 사실이나 입장을 공식적으로 표현하는 간단하고 직접적인 발언입니다. 주로 객관적이고 공식적인 성격을 띱니다.
예: "The company released a statement about the incident" (회사는 사건에 대한 성명을 발표했다)
주요 차이점:
'commentary'는 더 길고 상세한 분석과 개인적인 견해를 포함합니다
'statement'는 더 간단하고 공식적이며 사실 중심적입니다
'commentary'는 해설적, 'statement'는 선언적입니다
DJ. shouldn’t care * them → about
BW. We just can see → can just
BW. much chance → a lot of
a lot of vs many vs much:
a lot of (많은): 가산/불가산 명사 모두와 함께 사용할 수 있는 비격식 표현입니다.
예: "a lot of books" (많은 책들), "a lot of water" (많은 물)
many (많은): 가산 명사와 함께 사용됩니다. 셀 수 있는 것들을 나타낼 때 씁니다.
예: "many people" (많은 사람들), "many cars" (많은 자동차들)
much (많은): 불가산 명사와 함께 사용됩니다. 셀 수 없는 것들을 나타낼 때 씁니다.
예: "much time" (많은 시간), "much money" (많은 돈)
주요 차이점:
'a lot of'는 가장 일상적이고 범용적으로 사용됩니다
'many'는 셀 수 있는 것들에만 사용됩니다
'much'는 셀 수 없는 것들에만 사용됩니다
'many'와 'much'는 'a lot of'보다 더 격식적입니다
BW. 우연히 = by accident
BW. on the way to back home → on the way back home
NE. cut down vs lessen
cut down vs lessen:
cut down (줄이다, 삭감하다): 의도적이고 적극적인 감소 행위를 의미합니다. 주로 구체적인 행동이나 습관을 줄이는 것을 나타냅니다.
예: "I need to cut down on sugar" (나는 설탕 섭취를 줄여야 해)
lessen (감소하다, 줄어들다): 점진적이거나 자연스러운 감소를 의미합니다. 강도나 정도가 줄어드는 것을 나타냅니다.
예: "The pain began to lessen" (통증이 줄어들기 시작했다)
주요 차이점:
'cut down'은 더 직접적이고 의도적인 감소를 나타냅니다
'lessen'은 더 점진적이고 자연스러운 감소를 나타냅니다
'cut down'은 주로 행동이나 소비와 관련되어 사용됩니다
'lessen'은 주로 감정, 강도, 영향력 등과 관련되어 사용됩니다
DJ. 감정 기복 = mood swing
12PM, BERNARD
TW. giving freely labor → free
TW. wait * her → for
TW. My current life is matter more → more important, My current life matters more
SY. I am a lot of my mind → I have a lot in my mind
SY. for pregnancy women → pregnant
SY. They are go now → going, They still go there
SY. Many Koreans are died in there → Many Koreans died there
SY. Grandma’s house is very country → remote, isolated, Grandma’s house is located in the countryside
SY. 제사 = ancestral rite
2PM, SEMIN
SH. I subscribed * Disney Plus → to
SH. I * familiar with → am
SH. jealous(질투하는) → jealousy(질투)
SH. more strong → get stronger
SH. I am usually try comparing myself in the past → I used to always try to compare myself to others in the past
SH. Because of * fear of → her
SH. When I was * graduate school → in
SH. When you think * your grandmother → of, about
SH. He’s passed away → He
SY. I don’t subscribe * anything → to
SY. put some a lot of makeups → put on a lot of makeup
SY. I saw 수애 really → in person(직접), in real life(실물로)
SY. the feeling of jealous(질투하는) → jealousy(질투)
SY. I will keep pace myself → pacing
SY. not try to * depressed → be, get
SY. The photography paper have to wash → has to be washed
SY. Reincarnation is exist → exists
SL. This actor is not fit in the movie → suitable for, does not fit the movie
SL. She is not fitting with → suitable for, does not fit
SL. bad acting movie → movie with poor acting
SL. I can * example with → make an
SL womens → women
SL. for real → in real life(실물로), in person(직접)
SL. I think compare is always needed → comparison
SL. is exist → exists
SL. many student in there → many students there
SL. She speak → said
speak vs say vs talk vs tell:
speak (말하다): 일반적인 발화 행위나 언어 능력을 의미합니다. 특정 언어를 구사하는 능력을 나타낼 때도 사용됩니다.
예: "He speaks English fluently" (그는 영어를 유창하게 구사한다)
say (말하다): 특정 내용이나 문장을 발화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직접 인용이나 발언 내용을 전달할 때 사용됩니다.
예: "He said he was hungry" (그는 배고프다고 말했다)
talk (이야기하다): 대화나 의사소통을 하는 행위를 의미합니다. 보통 쌍방향 의사소통을 나타냅니다.
예: "We talked about the movie" (우리는 영화에 대해 이야기했다)
tell (말하다, 알리다): 정보를 전달하거나 누군가에게 무언가를 알리는 것을 의미합니다. 직접목적어가 필요합니다.
예: "Tell me the truth" (나에게 진실을 말해줘)
주요 차이점:
'speak'는 언어 능력이나 일반적인 발화 행위를 강조합니다
'say'는 특정 내용의 발화를 강조합니다
'talk'은 쌍방향 의사소통을 강조합니다
'tell'은 정보 전달을 강조하며 누구에게 말하는지를 명시해야 합니다
SL. I’m really shame → ashamed
SL. I didn’t live good → well
NH. People has → have
NH. when you put on the toilet → sit
NH. Shamans try to talk not dead person but gods → not to a dead person, but to a god
NH. when he said * me → to
2PM, YEEUN
창현(CH), 형규(HK), 태욱(TW), 재연(J), 지연(Y)
CH. develop English → improve
develop vs improve:
'develop'와 'improve'는 모두 '발전하다'는 의미를 가지지만, 사용 맥락이 다릅니다:
develop (발달하다, 개발하다):
새로운 것을 만들거나 성장시키는 과정을 의미합니다 보통 장기적이고 단계적인 발전을 나타냅니다 예: "We need to develop new skills" (새로운 기술을 개발해야 합니다)
improve (향상시키다, 개선하다):
이미 존재하는 것을 더 좋게 만드는 것을 의미합니다 현재 상태에서의 발전을 나타냅니다 예: "I want to improve my English" (영어 실력을 향상시키고 싶습니다)
주요 차이점:
'develop'는 새로운 것을 만들거나 성장시키는 과정에 중점을 둡니다
'improve'는 기존의 것을 더 나은 상태로 만드는 것에 중점을 둡니다
따라서 언어 학습의 맥락에서는 'improve'가 더 자연스러운 표현입니다.
HK. habits vs hobbies
habits vs hobbies:
habits (습관): 정기적으로 반복되는 행동이나 패턴을 의미합니다. 의식적이든 무의식적이든 일상적으로 하게 되는 행동입니다. 예: "brushing teeth", "checking phone first thing in the morning"
hobbies (취미): 즐거움을 위해 자발적으로 하는 여가 활동을 의미합니다. 관심과 열정을 가지고 하는 활동입니다. 예: "playing guitar", "collecting stamps"
주요 차이점:
habits는 일상적이고 자동적인 행동을, hobbies는 의도적이고 즐거움을 위한 활동을 의미합니다
habits는 긍정적이거나 부정적일 수 있지만, hobbies는 대체로 긍정적인 활동입니다
habits는 무의식적으로 형성될 수 있지만, hobbies는 의식적인 선택입니다
J. born at 2000 → in
CH. enjoyful → enjoyable, joyful
enjoyable vs joyful:
enjoyable (즐길만한):
어떤 활동이나 경험이 즐거움을 주는 것을 의미합니다 주로 특정 활동이나 이벤트를 설명할 때 사용됩니다 예: "The party was very enjoyable." (파티가 매우 즐거웠다)
joyful (기쁨에 찬):
더 강한 감정적 행복감이나 기쁨을 표현합니다 주로 감정 상태나 분위기를 설명할 때 사용됩니다 예: "She had a joyful smile on her face." (그녀의 얼굴에는 기쁨에 찬 미소가 있었다)
주요 차이점:
'enjoyable'은 즐길 수 있는 외부적 조건이나 상황을 설명합니다
'joyful'은 내면의 깊은 기쁨이나 행복감을 나타냅니다
'enjoyable'은 더 일상적이고 가벼운 즐거움을, 'joyful'은 더 강렬하고 감정적인 기쁨을 의미합니다
TW. first of the movie → the beginning
J. We are sick at → of
TW. very beauty → beautiful
J. what the author entails → intends
HK. need to write * woman → about
TW. teach something < lesson
teach vs lesson:
'teach'는 동사로 '가르치다'라는 의미이고, 'lesson'은 명사로 '수업, 교훈'이라는 의미입니다:
teach (동사):
지식이나 기술을 전달하는 행위를 의미합니다 예: "I teach English" (나는 영어를 가르친다)
lesson (명사):
수업이나 교훈을 의미하는 명사입니다 예: "I learned a valuable lesson" (나는 귀중한 교훈을 배웠다)
올바른 사용:
✓ "The teacher taught me a lesson" (선생님이 나에게 수업/교훈을 가르쳤다)
✗ "The teacher teach me something" (잘못된 표현)
J. not in the snow white → not in snow white
HK. sit * their seats → in
J. not that much pretty → as
HK. sympathy vs empathy
sympathy vs empathy:
sympathy (동정, 연민): 다른 사람의 어려움이나 고통을 인식하고 안타까워하는 감정입니다. 외부자의 관점에서 타인의 상황을 이해하려고 하는 것입니다.
예: "I feel sympathy for her loss" (그녀의 상실에 대해 안타깝게 생각합니다)
empathy (공감): 다른 사람의 감정이나 경험을 마치 자신의 것처럼 깊이 이해하고 함께 느끼는 것입니다. 상대방의 입장에서 생각하고 느끼는 것입니다.
예: "I can empathize with your situation because I've been there" (내가 비슷한 경험이 있어서 당신의 상황에 공감할 수 있습니다)
주요 차이점:
sympathy는 타인의 상황을 외부에서 이해하고 걱정하는 것입니다
empathy는 타인의 감정을 내면화하여 함께 느끼는 것입니다
sympathy는 거리를 둔 이해를, empathy는 감정적 동일시를 의미합니다
TW. as times go by → time goes
@3/6/2025
10AM, SUNNY
SJ. I’m not prefer fozen fruits → don’t
SJ. I always frozen my food → freeze, I always keep food frozen
HJ. When I break egg → crack eggs
break vs crack:
'break'는 일반적으로 물건을 '부수다, 깨다'의 의미로, 의도적이든 아니든 물건이 완전히 파손되는 것을 의미합니다.
'crack'은 특히 달걀과 관련해서는 '껍질을 깨다'라는 특정한 의미로 사용됩니다. 이는 의도적이고 조심스러운 행동을 나타냅니다.
예시:
✓ "I need to crack some eggs to make an omelet." (오믈렛을 만들기 위해 달걀을 깨야 해요)
✗ "I need to break some eggs to make an omelet." (부적절한 표현)
즉, 달걀을 요리할 때는 'crack'이 더 자연스럽고 정확한 표현입니다.
HJ. disease vs illness
disease vs illness:
'Disease'와 'illness'는 모두 질병을 의미하지만, 사용 맥락이 다릅니다:
Disease (질병): 의학적으로 진단 가능한 특정한 상태나 조건을 의미합니다. 더 전문적이고 의학적인 용어입니다.
예: "Parkinson's disease", "heart disease"
Illness (병): 질병으로 인한 개인의 주관적인 경험이나 상태를 의미합니다. 더 일반적이고 포괄적인 용어입니다.
예: "He has been suffering from a serious illness"
주요 차이점: 'Disease'는 구체적인 의학적 상태를, 'illness'는 환자가 경험하는 전반적인 건강 상태를 나타냅니다.
HJ. If I have a child, I want to grow by myself → raise the child, myself
grow vs raise:
grow (성장하다): 주로 식물이나 자연적인 성장 과정을 설명할 때 사용됩니다. 사람을 대상으로 'grow'를 사용할 때는 자연스러운 성장 과정을 의미합니다.
예: "Children grow so fast" (아이들은 정말 빨리 자란다)
raise (양육하다): 자녀를 키우고 교육하는 의도적이고 적극적인 양육 행위를 설명할 때 사용됩니다.
예: "She raised three children by herself" (그녀는 세 아이를 혼자 키웠다)
주요 차이점: 'grow'는 자연스러운 성장 과정을, 'raise'는 의도적인 양육 행위를 나타냅니다. 따라서 자녀 양육을 이야기할 때는 'raise'가 더 적절한 표현입니다.
12PM, WON
GY. My remember is → memory, What I remember is
remember vs memorize vs recall vs memory:
remember (동사): 기억하다, 떠올리다 - 자연스럽게 무언가를 기억하거나 마음에 떠올리는 것을 의미합니다. 예: "I remember meeting her last year." (작년에 그녀를 만났던 것이 기억납니다)
memorize (동사): 암기하다 - 의도적으로 무언가를 기억하려고 노력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예: "Students need to memorize these vocabulary words." (학생들은 이 단어들을 암기해야 합니다)
recall (동사): 회상하다, 상기하다 - 과거의 기억을 의식적으로 되살리는 것을 의미합니다. 예: "I can't recall his phone number." (그의 전화번호가 생각나지 않습니다)
memory (명사): 기억, 추억 - 과거의 경험이나 지식이 저장된 상태나 능력을 의미합니다. 예: "I have good memories of my childhood." (나는 어린 시절의 좋은 추억들이 있습니다)
주요 차이점: • remember는 자연스러운 기억을, memorize는 의도적인 암기를 의미합니다 • recall은 더 공식적인 표현으로, 특정 정보를 의식적으로 되살리는 것을 강조합니다 • memory는 명사로, 기억 자체나 기억하는 능력을 나타냅니다
GY. 조교 = teacher assistant
GY. 할인점 = discount store
GY. 팽이버섯 = enoki mushroom
GY. 3 hours ago → before
ago vs before:
'ago'와 'before'는 모두 과거 시점을 나타내지만, 사용 맥락이 다릅니다:
ago: 현재 시점으로부터 특정 시간만큼 이전을 나타냅니다. 항상 시간 표현 뒤에 위치합니다.
✓ "I saw her three days ago" (3일 전에 그녀를 봤다)
✗ "I saw her ago three days" (잘못된 표현)
before: 특정 시점이나 사건을 기준으로 이전을 나타냅니다. 더 유연하게 사용될 수 있습니다.
✓ "I saw her three days before the wedding" (결혼식 3일 전에 그녀를 봤다)
✓ "Three days before, I saw her" (3일 전에 그녀를 봤다)
주요 차이점:
'ago'는 항상 현재를 기준점으로 사용하며, 시간 표현 뒤에만 위치합니다
'before'는 다양한 기준점을 사용할 수 있으며, 문장 내 위치가 더 자유롭습니다
GY. 유효기간을 늘리다 = extend the expiration date
SH. I thought again → change my mind
SH. 지겨운 = sick and tired of *
SH. 곰팡이 = mold
SH. 회전율 = turnover rate
SH. trash at a lot → throw away
throw away vs throw out:
'throw away'와 'throw out'은 모두 '버리다'라는 의미로 사용되며, 대부분의 상황에서 교차 사용이 가능합니다. 하지만 미묘한 차이가 있습니다:
throw away: 더 이상 필요하지 않은 것을 영구적으로 폐기할 때 주로 사용됩니다. 의도적이고 계획된 행동을 암시합니다.
예: "I need to throw away these old magazines." (이 오래된 잡지들을 버려야 해요)
throw out:
1.
급하게 또는 즉흥적으로 버리는 행동을 나타낼 때 더 자주 사용됩니다.
2.
'내쫓다'라는 의미로도 사용될 수 있습니다.
예: "The milk smells bad, let's throw it out." (우유가 상한 것 같아요, 버립시다)
예: "He was thrown out of the bar." (그는 바에서 쫓겨났다)
공통점: 일상적인 대화에서는 두 표현이 거의 동일한 의미로 사용되며, 상호 교환이 가능합니다.
SH. the hate food → least favorite(가장 싫어하는), the food I hate
SH. accident is happen → happens, things can go wrong way(일이 꼬이다)
HJ. 편리한 = convenient
convenient vs comfortable:
convenient (편리한): 시간이나 노력을 절약하게 해주는, 실용적인 편리함을 의미합니다. 예: "The convenience store is convenient because it's open 24/7." (편의점은 24시간 영업해서 편리하다)
comfortable (편안한): 신체적, 정신적으로 느끼는 안락함이나 편안함을 의미합니다. 예: "This sofa is very comfortable to sit on." (이 소파는 앉기에 매우 편안하다)
주요 차이점:
'convenient'는 실용적이고 기능적인 편리함을 강조합니다
'comfortable'은 신체적, 감정적 안락함과 관련이 있습니다
'convenient'는 상황이나 물건에 대해 사용되고, 'comfortable'은 주로 신체적 감각이나 느낌을 설명할 때 사용됩니다
HJ. 목에 걸리다 = Something is stuck in my throat
HJ. 숙취 = hangover
HJ. 귀찮은 = bothersome
HJ. ramen that was bad → had gone
have/has gone bad:
"have/has gone bad"는 '상하다', '썩다'를 의미하는 표현입니다. 특히 음식이 더 이상 먹을 수 없는 상태가 되었을 때 사용합니다.
구조: have/has + gone + bad
예시:
"The milk has gone bad." (우유가 상했다)
"I think these leftovers have gone bad." (이 남은 음식이 상한 것 같다)
비슷한 표현:
spoil(ed) - "The food has spoiled."
rot(ten) - "The vegetables have rotted."
주의: "was bad"는 단순히 '나빴다'는 의미로, 음식이 상한 상태를 정확히 표현하지 못합니다.
HJ. Airport is 복잡 = crowded, complicated, busy
crowded vs complicated vs busy:
세 단어는 모두 '복잡한' 상태를 나타내지만, 각각 다른 뉘앙스를 가집니다:
crowded (사람이 많아 붐비는): • 공간에 사람이나 물건이 많아 꽉 찬 상태 • 예: "The airport is crowded during holidays." (공항이 휴가철에 사람들로 붐빈다)
complicated (이해하기 어려운, 복잡한): • 이해하거나 처리하기 어려울 정도로 복잡한 상태 • 예: "The airport's security system is complicated." (공항의 보안 시스템이 복잡하다)
busy (활동이 많은, 바쁜): • 활동이나 일이 많아 분주한 상태 • 예: "The airport is busy with flights taking off every minute." (공항이 매 분마다 비행기가 이륙하느라 분주하다)
공항 맥락에서는 보통 'crowded' 또는 'busy'가 가장 자연스러운 표현입니다.
HJ. 입어보다, 써보다 = try on sunglasses
SJ. 2학년 = sophomore in college
SJ. 어쩔 수 없다 = It is what it is
SJ. scared to fail the plane → afraid to miss the flight
scared vs afraid vs feared:
세 단어는 모두 '두려움'과 관련이 있지만, 사용 방법과 뉘앑스가 다릅니다:
scared (겁먹은, 무서워하는): • 즉각적이고 일시적인 두려움을 나타냄 • 비교적 덜 격식적이고 일상적인 표현 • 예: "I'm scared of spiders." (나는 거미가 무서워요)
afraid (두려워하는, 걱정하는): • 좀 더 일반적이고 지속적인 두려움이나 걱정을 표현 • 'scared'보다 더 격식적인 표현 • 예: "I'm afraid of heights." (나는 고소공포증이 있어요)
feared (두려워하는, 경외시되는): • 주로 수동태로 사용되며, 존경심이 섞인 두려움을 나타냄 • 가장 격식적인 표현 • 예: "He was the most feared warrior in the kingdom." (그는 왕국에서 가장 두려워하는 전사였다)
주요 차이점:
'scared'는 즉각적이고 강한 감정적 반응을 나타냄
'afraid'는 더 이성적이고 일반적인 두려움을 표현
'feared'는 주로 다른 사람들이 느끼는 두려움의 대상을 설명할 때 사용
6PM, CHAEEUN
JM. You can both name of me → call either of the two
JM. freezen fruit → frozen
JM. I cook by them → them first
MB. Lately, I just focus on my health < I've been focusing on my health recently
JY. I don’t like some frozen stuff → frozen food very much, it when things are frozen
MB. Tomorrow they always deliver → They always deliver the next day(다음 날)
JY. I live near my 친정 = parents’ house
JM. frozen area → freezer
SL. two door → double door
8PM, YEEUN
MS. in the news → on
MS. how learn swim → learn how to swim
TW. certificate of Opic → Opic qualification, certificate
qualification vs certificate vs license:
이 세 단어는 모두 자격이나 능력을 증명하는 문서를 의미하지만, 각각 다른 뉘앙스를 가집니다:
qualification (자격): • 특정 직무나 활동을 수행할 수 있는 능력이나 자격을 의미 • 보다 포괄적인 용어로, 교육, 훈련, 경험을 모두 포함 • 예: "He has the right qualifications for this job." (그는 이 직업에 필요한 자격을 갖추고 있다)
certificate (증명서): • 특정 과정이나 교육을 이수했음을 증명하는 문서 • 주로 교육이나 훈련 프로그램 완료 후 발급 • 예: "I received a TESOL certificate." (나는 TESOL 자격증을 받았다)
license (면허): • 법적으로 특정 활동을 수행할 수 있는 권한을 부여하는 공식 허가증 • 주로 정부나 공인기관에서 발급 • 예: "You need a driver's license to operate a vehicle." (차량을 운전하려면 운전면허가 필요하다)
주요 차이점:
qualification은 가장 광범위한 용어로, 공식/비공식 자격을 모두 포함
certificate는 교육이나 훈련 과정 이수를 증명
license는 법적 권한을 부여하는 공식 허가증
SY. she’s → her
SY. dish making class < pottery
SY. 양꼬치 = lamb skewers
SY. office man → worker
MS. six March → on the 6th of March
MS. on the dinner → at
SY. man to man → one on one(일대일)
TW. I will say her → tell, say to, let her know
SY. in * dream → the
SY. grow him → raise
grow vs raise:
두 단어는 '성장시키다'와 관련이 있지만, 사용 맥락이 다릅니다:
grow (자라다, 성장하다): • 주로 식물이나 자연적인 성장 과정을 설명할 때 사용 • 예: "I grow vegetables in my garden." (나는 정원에서 채소를 기른다)
raise (양육하다, 키우다): • 아이나 동물을 돌보고 키우는 것을 설명할 때 사용 • 예: "They raised three children." (그들은 세 아이를 키웠다)
주요 차이점:
'raise'는 의도적인 양육과 보살핌을 포함
'grow'는 자연적인 성장 과정에 중점
사람이나 동물을 키울 때는 'raise'가 올바른 표현
HJ. big variety → wide, large
KH. make cookies → bake
SY. lastly → recently, lately, currently
SY. He is more than me → better
SY. big brands → famous, fancy, luxury
TW. take it next morning → come, delivery, arrive
HJ. I go first time eat alone → to eat alone for the first time
HJ. You have to order two portion < for two people
HJ. my side → beside me
TW. when I * back to uni → go
KH. I don’t like eat alone → eating
@3/5/2025
12PM, SUNNY
HE. high school graduation people → high school graduates, people with a high school diploma
HE. can * hobby → be a
HE. Like the most → Getting a lot of likes
HJ. I’m same to her → as, I have a same opinion as her
HJ. in real → reality
HJ. in home → at, in the house
HE. I and my husband → My husband and I
I and my husband vs My husband and I:
영어에서는 다른 사람을 언급할 때 예의상 자신을 마지막에 언급하는 것이 문법적으로 올바른 표현입니다.
따라서:
✗ I and my husband (잘못된 표현)
✓ My husband and I (올바른 표현)
이는 대화나 글쓰기에서 겸손함을 나타내는 영어권 문화의 일부이며, 공식적인 상황에서 특히 중요합니다.
이러한 규칙은 다른 사람들과 자신을 함께 언급할 때도 적용됩니다:
✓ John, Mary, and I (올바른 표현)
✗ I, John, and Mary (잘못된 표현)
2PM, YEEUN
ES. goot at English < improve
ES. I think I was difficult → it
JY. on weekends → over the
on weekends vs over the weekend vs during the weekend:
on weekends: 일반적인 주말 활동이나 반복되는 습관을 설명할 때 사용합니다. (e.g., "I usually go hiking on weekends" - 나는 보통 주말에 하이킹을 간다)
over the weekend: 특정 주말 전체를 아우르는 기간을 나타낼 때 사용합니다. 주로 과거나 미래의 특정 주말을 지칭할 때 씁니다. (e.g., "I'll finish the project over the weekend" - 나는 이번 주말 동안 프로젝트를 끝낼 것이다)
during the weekend: 주말 동안의 특정 시점이나 기간을 강조할 때 사용합니다. "over the weekend"와 비슷하지만, 좀 더 공식적인 표현입니다. (e.g., "Several events occurred during the weekend" - 주말 동안 여러 일이 일어났다)
즉, "on weekends"는 일반적인 습관을, "over/during the weekend"는 특정 주말을 이야기할 때 사용합니다.
JY. accidently → coincidently
accidentally vs coincidentally:
accidentally: 실수로, 우연히 (의도하지 않게) 발생한 일을 의미합니다. (e.g., "I accidentally deleted the file" - 실수로 파일을 삭제했다)
coincidentally: 우연의 일치로, 때마침 (우연히 동시에) 발생한 일을 의미합니다. (e.g., "Coincidentally, we were both at the same restaurant" - 우연히도 우리는 같은 레스토랑에 있었다)
즉, accidentally는 의도하지 않은 실수나 사고를 나타내는 반면, coincidentally는 우연한 일치나 동시 발생을 나타냅니다.
ES. with four * → of my friends
ES. She said me → told, said to, talk to
ES. get money < earn
ES. *와 비교해서 = compared to *
ES. 이름값 = name value
ES. 사회적 기준 = social standard
ES. social working → socialization
ES. using body → physical labour
ES. my focusing → attention span(집중력)
JY. 바닥을 치다 = hit the rock bottom
6PM, SAMMY
MB. 부럽다 = envy
MB. 공감 = empathy
MB. 휴학 = leave of absence
MB. introvert person → an introverted
MB. 요즘 세상 = current world
MB. I’m not good * 3D modeling → at
MB. I really love live alone → living
MB. Anyone bother me → No one bothers
MB. Me and she → She and I
MB. It makes too hard to me → for
MB. to meet other country people → the people from other countries
MB. too vs very
too vs very:
too: 부정적인 의미로 '너무 ~해서 좋지 않은' 상태를 나타냅니다. 과도함을 표현하며, 주로 바람직하지 않은 상황을 설명할 때 사용됩니다.
예: "The coffee is too hot to drink." (커피가 너무 뜨거워서 마실 수 없다)
very: 중립적인 의미로 '매우, 아주'라는 뜻입니다. 단순히 정도가 높음을 나타내며, 긍정적이거나 중립적인 상황 모두에 사용할 수 있습니다.
예: "The coffee is very hot." (커피가 매우 뜨겁다)
주요 차이점: 'too'는 문제가 될 정도로 과도한 상태를, 'very'는 단순히 높은 정도를 나타냅니다. 'too'는 보통 부정적인 결과나 한계를 암시하지만, 'very'는 그러한 함의가 없습니다.
MB. super introvert < big
MB. talk * other people → to
MB. ask to my parents → ask my parents
DH. 자기 개발서 = self hellp books
DH. When I go trip → on trips, travelling
DH. I * interested in communicate → I am interested in communication
DH. funny vs fun
funny vs fun:
funny (형용사): 웃긴, 우스운, 재미있는 - 유머러스하거나 웃음을 유발하는 것을 설명할 때 사용합니다.
예: "The comedian was very funny." (그 코미디언은 매우 웃겼다)
fun (명사/형용사): 즐거운, 재미있는 - 즐거움이나 오락을 주는 활동이나 경험을 설명할 때 사용합니다.
예: "We had fun at the party." (우리는 파티에서 즐거웠다)
주요 차이점: 'funny'는 웃음을 유발하는 상황이나 대상을, 'fun'은 전반적인 즐거움이나 재미있는 경험을 나타냅니다.
DH. working place < workplace
DH. more good < better
DH. She not permitted → didn’t permit
DH. 영향을 미치지 않을 거다 = It won’t impact
DH. I lost many money → a lot of
DH. 부조리한 = unfair
DH. my recently book → recent, current, the book I read recently
DH. It takes many money → costs a lot of
DH. I take her clothes not telling her → without
DH. 눈치보다 = read the room
DH. live in 60 years → for
DH. go * many countries → to
DH. live in seperate → seperately
DH. talking much → a lot, too much
6PM, SUJEE
J. I chose my job * what I like the most → based on
J. I lost most money → a lot of
J. more broaden knowledge → broader
J. I suffered so a lot → I suffered a lot
J. follow generation → next, the generation that follow
TM. 기준 = standard, criteria
standard vs criteria:
standard: 단일의 기준점이나 수준을 의미합니다. 일반적으로 품질, 성과, 또는 행동의 수준을 측정하는 데 사용되는 단일 기준입니다. (e.g., "The hotel meets the five-star standard" - 이 호텔은 5성급 기준을 충족한다)
criteria: 'criterion'의 복수형으로, 여러 가지 평가 기준이나 판단 근거를 의미합니다. 어떤 것을 평가하거나 판단할 때 사용되는 다수의 기준들을 말합니다. (e.g., "The selection criteria include education, experience, and skills" - 선발 기준에는 교육, 경험, 기술이 포함된다)
즉, standard는 단일한 기준이나 수준을 나타내는 반면, criteria는 여러 기준들의 집합을 의미합니다. criteria가 더 포괄적이고 다면적인 평가 기준을 나타낼 때 사용됩니다.
TM. after the work → after work, after working
TM. get a lot of mistake → make
TM. It makes you hesitating → hesitant
TM. not doing criminal things → commiting crimes
TM. upper generation → older
TM. * that time → at
TM. People have calm → are
TM. source → resource
source vs resource:
source: 출처, 근원, 원천을 의미합니다. 무언가가 시작되는 지점이나 정보/물질의 기원을 나타냅니다. (e.g., "The river's source is in the mountains" - 강의 발원지는 산에 있다)
resource: 자원, 재원, 수단을 의미합니다. 사용 가능한 물질, 돈, 시간, 인력 등을 포함하는 더 넓은 개념입니다. (e.g., "The company needs more resources to complete the project" - 회사는 프로젝트를 완료하기 위해 더 많은 자원이 필요하다)
즉, source는 '어디서 왔는지'를 나타내는 출처나 근원을, resource는 '사용할 수 있는 것'을 나타내는 자원을 의미합니다.
TM. 철학 = philosophy
8PM, SAMMY
YJ. I’m working * press → in
YJ. criticizing skills → critical
YJ. This job is satisfied → satisfying, I am satisfied with this job
YJ. different hard → hardship, difficulty
Hardship vs Difficulty:
Hardship (고난, 역경): 더 심각하고 장기적인 어려움을 의미합니다. 주로 생활이나 삶에 큰 영향을 미치는 고난을 표현할 때 사용됩니다.
예: "Many families faced financial hardship during the recession." (많은 가정들이 불황 동안 재정적 어려움을 겪었다.)
Difficulty (어려움): 일시적이거나 특정 상황에서 발생하는 문제나 도전을 의미합니다. 'Hardship'보다 덜 심각하고 더 일반적인 어려움을 나타냅니다.
예: "I had difficulty understanding the instructions." (나는 지시사항을 이해하는 데 어려움이 있었다.)
주요 차이점: 'Hardship'은 더 심각하고 생활에 큰 영향을 미치는 어려움을 의미하는 반면, 'Difficulty'는 일상적이고 일시적인 어려움을 나타냅니다. 'Hardship'은 주로 경제적, 정서적, 또는 신체적 고난을 포함하는 더 넓은 의미의 어려움을 지칭합니다.
YJ. mentality hard → mentally(정신적으로)
YJ. It was physically tired → tiring, I was tired physically
YJ. in home → at, in the house
At home vs In the house:
At home (집에): 일반적인 '집'이라는 개념을 나타낼 때 사용합니다. '집에 있다'는 상태나 위치를 표현할 때 가장 일반적으로 쓰입니다.
예: "I'll be at home tonight." (오늘 밤에 집에 있을 거예요.)
In the house (집 안에): 실제 건물로서의 집 내부를 구체적으로 지칭할 때 사용합니다. 물리적인 공간으로서의 '집 안'을 강조할 때 씁니다.
예: "There's nobody in the house right now." (지금 집 안에 아무도 없어요.)
주요 차이점: 'at home'은 더 추상적이고 일반적인 표현이며, 'in the house'는 물리적 건물 내부의 구체적인 위치를 나타냅니다. 일상적인 표현으로는 'at home'이 더 자주 사용됩니다.
YJ. We experienced both 2 things → We experienced both things
YJ. I drunk → drank, I got drunk(취한)
YJ. is my prioritize → priority
YJ. physically tired job → demanding(힘든)
YJ. marriaged → married(결혼한)
YJ. care * baby → for
YJ. kind than human → kinder
YJ. I want to be soft people → a soft person
DY. Last Saturday, we go to → went
DY. This is very hurt → This hurts a lot
DY. I memory all the flavor → memorize, remember
Remember vs Memorize vs Recall:
Remember (기억하다): 일반적으로 자연스럽게 기억에 남아있는 것을 의미합니다. 의도적인 노력 없이도 머릿속에 떠오르는 기억을 표현할 때 사용합니다.
예: "I remember my first day at school." (나는 첫 등교일을 기억합니다.)
Memorize (암기하다): 의도적으로 무언가를 기억하려고 노력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시험이나 발표를 위해 특정 정보를 의식적으로 외우는 경우에 사용됩니다.
예: "I need to memorize these vocabulary words for the test." (시험을 위해 이 단어들을 암기해야 합니다.)
Recall (회상하다): 과거의 기억을 현재 시점에서 떠올리는 것을 의미합니다. 기억 속에서 특정 정보를 끄집어내는 행위를 나타냅니다.
예: "I'm trying to recall where I put my keys." (열쇠를 어디에 뒀는지 떠올리려 하고 있습니다.)
주요 차이점: 'Remember'는 일반적인 기억을, 'Memorize'는 의도적인 암기를, 'Recall'은 저장된 기억을 불러오는 과정을 강조합니다.
DY. It is different to → from
DY. Best is I choose it → I choose the job I’m best at
DY. together thing → collaborative work
DY. Income * very low → is, very low income
DY. He was very good → It was very good for him
DY. wiser than * younger → I was
DY. in the children → childhood, as a child
DY. give the chocolate for you → to, buy the chocolate for you
DY. didn’t anger → get angry
DY. more order → getting
DY. 나이가 들수록 지혜로워진다 → Getting older gives you more wisdom / The older you get, the more wisdom you gain
DY. little bit lucky < of luck
YW. Data only can access → can only get accessed
YW. Construction is only physical activity < just physical work
YW. I didn’t * sales → do
YW. 회식 = company gathering
YW. treat * expensive → us to
YW. I worked at MyungDong → in
YW. makes feel practice → me want to
YW. I’m gonna do the like thing → the thing what I like
YW. AI is not longest job → sustainable(지속 가능한)
YW. dealing * people → with
YW. say blame → give criticism, be blaming
YW. It gave me things I learned → taught me a lot of things
JE. When I go to company → work, the company
JE. I practice English to trip → go on a trip, for travelling
JE. but * long period → for a
JE. I think many income will give many work → a lot of, bring a lot of
JE. 기준 = standard, criteria
Standard vs Criteria:
Standard (기준): 일반적인 기준이나 규격을 의미합니다. 보편적으로 인정되는 수준이나 품질을 나타내는 단일 기준입니다.
예: "This work doesn't meet our quality standards." (이 작업은 우리의 품질 기준을 충족하지 않습니다.)
Criteria (평가 기준): 판단이나 결정을 내리기 위한 여러 기준들을 의미합니다. 주로 복수의 평가 항목이나 조건들을 지칭할 때 사용됩니다.
예: "The selection criteria include experience, education, and skills." (선발 기준에는 경험, 학력, 기술이 포함됩니다.)
주요 차이점: 'Standard'는 단일한 기준이나 규격을 나타내는 반면, 'Criteria'는 여러 평가 기준이나 조건들의 집합을 의미합니다. 'Criteria'는 'criterion'의 복수형이며, 더 구체적이고 세부적인 평가 요소들을 포함합니다.
JE. If the stocks will that price touch → reaches that price
JE. not that wisdom → much wiser
JE. When I children → was a child, In my childhood
JE. get a baby and marriage → get married and have a baby
JE. give me the job → task
Job vs Work vs Task:
Job (직업): 정규적으로 수행하는 유급 직업이나 직무를 의미합니다. 특정 직위나 고용 관계를 나타냅니다.
예: "She has a job as a teacher." (그녀는 교사로 일하고 있다.)
Work (일, 작업): 더 일반적인 의미의 일이나 노동을 의미합니다. 유급/무급에 관계없이 어떤 노력이나 활동을 포함합니다.
예: "I have a lot of work to do today." (오늘 할 일이 많다.)
Task (과제, 작업): 완료해야 할 구체적이고 개별적인 일을 의미합니다. 보통 더 큰 프로젝트의 일부분이나 특정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단계를 나타냅니다.
예: "My first task is to organize the files." (내 첫 번째 과제는 파일들을 정리하는 것이다.)
주요 차이점: 'Job'은 직업이나 고용 관계를, 'Work'는 일반적인 일이나 노동을, 'Task'는 구체적이고 개별적인 작업을 지칭합니다.
JE. 좋은 방식으로 = in a good way
JE. Reading books will get wisdom → give you, You can gain wisdom by reading books
JE. I cannot memory → memorize, remember, recall
Remember vs Memorize vs Recall:
Remember (기억하다): 일반적으로 자연스럽게 기억에 남아있는 것을 의미합니다. 의도적인 노력 없이도 머릿속에 떠오르는 기억을 표현할 때 사용합니다.
예: "I remember my first day at school." (나는 첫 등교일을 기억합니다.)
Memorize (암기하다): 의도적으로 무언가를 기억하려고 노력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시험이나 발표를 위해 특정 정보를 의식적으로 외우는 경우에 사용됩니다.
예: "I need to memorize these vocabulary words for the test." (시험을 위해 이 단어들을 암기해야 합니다.)
Recall (회상하다): 과거의 기억을 현재 시점에서 떠올리는 것을 의미합니다. 기억 속에서 특정 정보를 끄집어내는 행위를 나타냅니다.
예: "I'm trying to recall where I put my keys." (열쇠를 어디에 뒀는지 떠올리려 하고 있습니다.)
주요 차이점: 'Remember'는 일반적인 기억을, 'Memorize'는 의도적인 암기를, 'Recall'은 저장된 기억을 불러오는 과정을 강조합니다.
@3/4/2025
6PM, SUJEE
SH. go to * US → the
SH. my childs → children
SH. I’m not confidence → confident
SH. How many semesters have you left → are
SH. taking * look * the map → a, at
SH. 지리 = geography
SH. most hard → hardest
SH. listen * music → to
JY. more hard → harder
JY. read books more → more books
JY. strange(낯선) environment → unfamiliar(익숙치 않은)
Strange vs Weird vs Unfamiliar:
Strange (이상한, 낯선): 일반적이지 않거나 평소와 다른 것을 설명할 때 사용합니다. 약간 부정적인 뉘앭스를 가질 수 있지만, 중립적으로도 사용됩니다.
예: "There was a strange smell in the room." (방에 이상한 냄새가 났다.)
Weird (이상한, 기괴한): 'Strange'보다 더 비격식적이며, 일반적으로 더 부정적인 뉘앭스를 가집니다. 특이하거나 기이한 것을 설명할 때 사용됩니다.
예: "His behavior was really weird." (그의 행동은 정말 이상했다.)
Unfamiliar (익숙하지 않은): 처음 접하거나 잘 알지 못하는 것을 설명할 때 사용합니다. 중립적인 의미로, 단순히 경험이 부족하거나 익숙하지 않은 상태를 나타냅니다.
예: "I felt uncomfortable in the unfamiliar environment." (익숙하지 않은 환경에서 불편함을 느꼈다.)
주요 차이점: 'Strange'와 'weird'는 비정상적이거나 특이한 것을 설명하는 반면, 'unfamiliar'는 단순히 익숙하지 않은 상태를 설명합니다. 'Weird'는 세 단어 중 가장 비격식적이고 부정적인 뉘앭스를 가지며, 'unfamiliar'는 가장 중립적입니다.
JY. 탄수화물 = carbohydrate
JY. It depends on * subject → the
TW. When I was in the high school → When I was in high school
TW. pronunciation, exhausted
TW. 육체 노동 = manual labor
8PM, SUJEE
MS. They don’t want to lose what they are → forget
MS. 유행 = trend
MS. termination → terminology
Termination vs Terminology:
Termination (종료, 해지): 무언가를 끝내거나 중단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계약이나 고용 관계가 끝나는 것을 나타낼 때 주로 사용됩니다.
예: "The termination of his contract was unexpected." (그의 계약 종료는 예상치 못한 것이었다.)
Terminology (전문용어, 용어): 특정 분야나 학문에서 사용되는 전문적인 용어들을 의미합니다. 각 분야마다 고유한 terminology가 있습니다.
예: "Medical terminology can be difficult to understand." (의학 용어는 이해하기 어려울 수 있다.)
MS. 재정의하다 = redefine
MS. 침 = acupuncture
HJ. 인정하다 = acknowledge, admit, recognize, concede
Acknowledge vs Admit vs Recognize vs Concede:
Acknowledge (인정하다): 어떤 사실이나 상황을 공식적으로 받아들이거나 인정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주로 긍정적이거나 중립적인 맥락에서 사용됩니다.
예: "I acknowledge your contribution to the project." (프로젝트에 대한 당신의 기여를 인정합니다.)
Admit (인정하다): 주로 실수나 잘못, 부정적인 사실을 인정할 때 사용됩니다. 종종 꺼리거나 불편한 진실을 받아들이는 상황에서 쓰입니다.
예: "He finally admitted his mistake." (그는 마침내 자신의 실수를 인정했다.)
Recognize (인정하다): 어떤 것의 가치나 중요성을 이해하고 인정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또한 누군가나 무언가를 식별하거나 알아보는 의미로도 사용됩니다.
예: "The company recognized her achievements with a promotion." (회사는 그녀의 업적을 승진으로 인정했다.)
Concede (인정하다): 논쟁이나 경쟁에서 상대방의 주장이나 승리를 인정하거나 받아들일 때 사용됩니다. 종종 어떤 것을 마지못해 인정하는 뉘앙스를 가집니다.
예: "He conceded that his opponent had made a valid point." (그는 상대방의 주장이 타당하다는 것을 인정했다.)
HJ. 비율이 좋다 = You have a good body proportion
HJ. 오글거리는 = cringy
HJ. hurt to other people → hurt other people
HJ. most people wants → want
HJ. I go to the swim → swimming
HJ. It will be helpful to my health → for
8PM, BERNARD
TW. Even if he very feel bad → feels very bad
TW. They would longer in my life → will no longer be
TW. come into my mind → to
JS. When I was teenage → a teenager
JS. very mad about it → at
JS. not too much consider → not consider too much
@3/3/2025
12PM, YEEUN
혜진(H), 희정(J), 나현(NH)
J. speak well < fluently(유창하게)
H. I’m thinking * something → of
H. all types of swimming → every swimming stroke
H. to develop(발달시키다) swimming skill → improve(향상시키다)
J. in last July → last July
J. three times in a week → three times a week
H. 마케팅 전략 = marketing strategy
H. Before the sun goes up → rises
J. real < realistic
H. not to do same thing < not repeat same mistake
J. take care * each other → of
NH. It was good to me → for
Good to me vs Good for me:
Good to me (나에게 잘해주다): 누군가가 나를 잘 대우하거나 친절하게 대했을 때 사용합니다. 사람의 행동이나 태도에 초점을 맞춥니다.
예: "My boss is always good to me." (내 상사는 항상 나에게 잘해줍니다.)
Good for me (나에게 좋다/유익하다): 어떤 것이 나에게 이익이 되거나 도움이 될 때 사용합니다. 상황이나 사물이 가져오는 결과나 영향에 초점을 맞춥니다.
예: "Exercise is good for me." (운동은 나에게 좋습니다.)
주요 차이점: 'Good to me'는 사람들의 행동이나 태도에 관한 것이고, 'Good for me'는 어떤 것의 효과나 이점에 관한 것입니다. 따라서 "The experience was good for me"는 그 경험이 나에게 유익했다는 의미입니다.
NH. eat lunch < have, eat something for lunch
H. situation goes awkward → gets
J. fun vs funny
Fun vs Funny:
Fun (재미있는, 즐거운): 즐거움이나 재미를 주는 활동이나 경험을 설명할 때 사용합니다. 주로 명사처럼 사용되거나 형용사로 쓰일 때는 활동 자체가 즐겁다는 의미입니다.
예: "We had fun at the party." (파티에서 즐거웠어요.)
예: "Playing games is fun." (게임하는 것은 재미있어요.)
Funny (우스운, 재미있는): 웃음을 유발하는 것, 코믹한 것을 설명할 때 사용합니다. 주로 농담, 상황, 또는 사람이 웃기다는 의미로 사용됩니다.
예: "That joke was really funny." (그 농담은 정말 웃겼어요.)
예: "She has a funny way of talking." (그녀는 말하는 방식이 우습습니다.)
주요 차이점: 'Fun'은 즐거운 활동이나 경험 자체를 강조하는 반면, 'funny'는 웃음을 유발하는 특성에 중점을 둡니다. 즉, 모든 'funny' 경험은 'fun'할 수 있지만, 모든 'fun' 경험이 'funny'한 것은 아닙니다. 예를 들어, 롤러코스터 타기는 'fun'하지만 반드시 'funny'하지는 않습니다.
J. how come → why
How come vs Why:
How come (왜, 어째서): '왜'라는 의미를 가진 비격식적인 표현입니다. 일상 대화나 친근한 상황에서 주로 사용됩니다. 더 캐주얼하고 덜 직접적인 느낌을 줍니다.
예: "How come you didn't call me yesterday?" (어제 왜 전화 안 했어?)
Why (왜, 무엇 때문에): '왜'를 의미하는 가장 기본적이고 공식적인 표현입니다. 모든 상황에서 사용될 수 있으며, 직접적인 질문을 할 때 사용됩니다.
예: "Why didn't you finish your homework?" (왜 숙제를 끝내지 않았니?)
주요 차이점: 'How come'은 더 비격식적이고 대화체에서 자주 사용되는 반면, 'Why'는 더 공식적이고 직접적입니다. 'How come'은 종종 부드러운 어조나 덜 도전적인 방식으로 이유를 물을 때 사용되며, 문법적으로도 'Why'와 달리 일반적으로 도치가 필요하지 않습니다(How come you are late? vs Why are you late?).
NH. meet each people → person
2PM, YEEUN
SH. told about movie → talk about movies
SH. drived → drove
SH. 중고차 = second hand car
SH. 허벅지 = thigh
MY. 숙취 = hang over
MY. 시간을 죽이다 = kill time
SJ. no matter of gender → regardless
MY. She live in there → She lives there
SJ. think in bad way → a negative way, negatively, pessimistically
Negatively vs Pessimistically:
Negatively (부정적으로): 부정적인 방식이나 태도로 무언가를 생각하거나 표현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어떤 상황이나 사안에 대해 좋지 않은 측면이나 단점에 초점을 맞추는 것을 말합니다.
예: "He reacted negatively to my suggestion." (그는 내 제안에 부정적으로 반응했다.)
Pessimistically (비관적으로): 최악의 결과를 예상하거나 좋은 일이 일어날 가능성을 거의 보지 않는 태도를 의미합니다. 미래에 대한 부정적인 기대나 예측에 초점을 맞춥니다.
예: "She views her career prospects pessimistically." (그녀는 자신의 경력 전망을 비관적으로 바라본다.)
주요 차이점: 'Negatively'는 부정적인 태도나 방식을 일반적으로 가리키는 반면, 'pessimistically'는 특히 미래 결과에 대한 부정적인 기대나 예측을 강조합니다. 모든 비관적인 태도는 부정적이지만, 모든 부정적인 태도가 반드시 비관적인 것은 아닙니다.
SH. don’t put me → pressure
Put vs Press vs Pressure:
Put (놓다, 두다): 무언가를 어떤 장소나 위치에 배치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압력'과 관련해서는 "put pressure on someone"이란 표현으로 '누군가에게 압력을 가하다'는 의미를 나타낼 수 있습니다.
예: "Don't put pressure on me." (나에게 압력을 가하지 마세요.)
Press (누르다, 압력을 가하다): 무언가를 물리적으로 누르거나 압력을 가하는 행위를 의미합니다. 또한 누군가에게 정신적 압박을 주는 의미로도 사용될 수 있습니다.
예: "Press the button." (버튼을 누르세요.) / "Don't press me for an answer." (답변을 강요하지 마세요.)
Pressure (압력, 압박): 명사로, 물리적인 압력이나 정신적인 압박감을 의미합니다. 또한 동사로도 사용되어 '압력을 가하다'는 의미를 나타낼 수 있습니다.
예: "The pressure of work is affecting his health." (업무 압박이 그의 건강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예: "Don't pressure me into making a decision." (결정을 내리도록 나를 압박하지 마세요.)
주요 차이점: 'Put'은 일반적인 배치 행위를 의미하며, 압력 관련해서는 "put pressure on"이라는 구문으로 사용됩니다. 'Press'는 물리적인 힘을 가하는 행위를 중심으로 하며, 'pressure'는 그 압력 자체를 의미하거나 압박을 주는 행위를 나타냅니다.
HY. today morning < this
HY. easy of night → to sleep early at night
HY. be careful → check it more thoroughly(철저히 확인하다)
SH. left things → leave things behind(두고 오다)
MY. suddenly come up to my mind → suddenly come to my mind(생각이 떠오르다), come up with(마련하다)
MY. 대립적인 = confrontational
HY. I have to find * myself → by
SJ. suiting → suitable(적합한)
MY. who is mistake → at fault
MY. we don’t fight more → anymore, often
6PM, BERNARD
TM. during I getting back to home → on my way back home(집으로 가는 길에)
TM. Mistake only harms on me → Mistakes only harm me
TM. depends on my upset → how upset I am
KI. Someone did the fault → something wrong
KI. reservated for the accommodation → book
Reserve vs Make a Reservation vs Book:
Reserve (예약하다): 호텔, 레스토랑, 티켓 등을 미리 확보하는 행위를 의미합니다. 주로 직접적인 동사로 사용됩니다.
예: "I need to reserve a table for dinner tonight." (오늘 저녁 식사를 위해 테이블을 예약해야 합니다.)
Make a reservation (예약하다): 'Reserve'와 같은 의미지만, 명사구(reservation)를 사용하여 더 공식적이거나 격식 있는 표현으로 사용될 수 있습니다.
예: "She made a reservation at the hotel for two nights." (그녀는 호텔에 이틀 밤 예약을 했습니다.)
Book (예약하다): 'Reserve'와 거의 동일한 의미로 사용되지만, 특히 영국 영어에서 더 흔하게 사용됩니다. 여행, 숙박, 공연 티켓 등을 예약할 때 자주 사용됩니다.
예: "I've booked flights to Paris for next month." (다음 달 파리행 항공편을 예약했습니다.)
주요 차이점: 이 세 표현은 모두 예약을 의미하지만, 사용 맥락과 지역에 따라 선호도가 다를 수 있습니다. 'Reserve'와 'make a reservation'은 미국 영어에서 더 일반적이며, 'book'은 영국 영어에서 더 자주 사용됩니다. 또한 'book'은 특히 여행이나 숙박과 관련된 예약에 더 자주 사용되는 경향이 있습니다.
KI. You should tell with him → talk to, tell him
Tell vs Talk vs Say vs Speak:
Tell (말하다, 전하다): 정보나 메시지를 전달하는 행위를 강조합니다. 주로 직접적인 정보 전달이나 지시에 사용됩니다. 'Tell'은 일반적으로 뒤에 사람(목적어)과 내용을 함께 사용합니다.
예: "Please tell me the truth." (진실을 말해주세요.)
예: "I told him about the meeting." (나는 그에게 회의에 대해 말했어요.)
Talk (이야기하다, 대화하다): 쌍방향 대화나 의사소통을 강조합니다. 'Talk'는 대화의 상호작용적 측면에 초점을 맞추며, 주로 'to', 'with', 또는 'about'과 함께 사용됩니다.
예: "I need to talk to you about something." (당신과 뭔가에 대해 이야기할 필요가 있어요.)
예: "She likes talking with her friends." (그녀는 친구들과 대화하는 것을 좋아합니다.)
Say (말하다, 발언하다): 직접적인 발언이나 언급을 강조합니다. 누군가가 정확히 어떤 말을 했는지를 전달할 때 자주 사용되며, 주로 인용구나 직접 화법에서 사용됩니다.
예: "He said he would be late." (그는 늦을 거라고 말했어요.)
예: "What did she say to you?" (그녀가 당신에게 뭐라고 말했나요?)
Speak (말하다, 연설하다): 언어 능력이나 공식적인 발언을 강조합니다. 언어 능력, 공식적인 연설, 또는 대중 앞에서의 발표에 자주 사용됩니다.
예: "He speaks three languages fluently." (그는 세 가지 언어를 유창하게 구사합니다.)
예: "The president will speak at the conference." (대통령이 회의에서 연설할 예정입니다.)
주요 차이점:
1.
Tell은 정보 전달에 중점을 두며, 일반적으로 "tell someone something"의 형태로 사용됩니다.
2.
Talk to/with는 쌍방향 대화나 의사소통 과정을 강조합니다.
3.
Say는 특정 발언이나 언급 자체에 초점을 맞추며, 종종 직접 인용에 사용됩니다.
4.
Speak는 언어 능력이나 공식적인 발언, 연설 등에 주로 사용됩니다.
6PM, SUNNY
YJ. 말실수 = a slip of the tongue, word mistake
A slip of the tongue vs Word mistake:
A slip of the tongue: 일시적이고 무의식적으로 발생하는 말실수를 의미합니다. 주로 긴장, 피로, 또는 집중력 부족으로 인해 의도치 않게 잘못된 단어를 말하거나 발음하는 경우를 가리킵니다.
예: "I meant to say 'thank you' but it came out as 'tank you'." (감사합니다라고 말하려 했는데 실수로 '탱크 유'라고 말했어요.)
Word mistake: 더 일반적인 용어로, 어휘나 단어 선택의 오류를 가리킵니다. 언어 지식의 부족이나 혼동으로 인해 잘못된 단어를 사용하는 경우를 포함합니다.
예: "She used 'borrow' when she meant 'lend'." (그녀는 '빌려주다'를 의미할 때 '빌리다'라는 단어를 사용했습니다.)
차이점: 'A slip of the tongue'은 일시적이고 무의식적인 말실수를 강조하는 반면, 'word mistake'는 어휘 선택의 오류를 더 넓게 포함하는 개념입니다. 'A slip of the tongue'은 알고 있는 단어를 실수로 잘못 말한 경우이고, 'word mistake'는 단어 자체를 잘못 알고 있거나 상황에 맞지 않는 단어를 선택한 경우까지 포함합니다.
YJ. You are misunderstand → misunderstanding
TW. I made a choice to borrow my car to him → lend, let him borrow my car, I had him take my car
Borrow vs Lend:
Borrow (빌리다): 다른 사람의 물건을 일시적으로 사용하기 위해 가져오는 행위입니다. 즉, '받는 사람'의 입장에서 사용하는 단어입니다.
예: "Can I borrow your pen?" (펜 좀 빌릴 수 있을까요?)
Lend (빌려주다): 자신의 물건을 다른 사람이 일시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주는 행위입니다. 즉, '주는 사람'의 입장에서 사용하는 단어입니다.
예: "I'll lend you my car for the weekend." (주말 동안 내 차를 빌려줄게요.)
주요 차이점: 같은 상황을 설명할 때, 관점에 따라 다른 단어를 사용합니다. 물건을 받는 사람은 'borrow'를, 물건을 주는 사람은 'lend'를 사용합니다.
일반적인 실수: "I borrowed him my car" (X) → "I lent him my car" (O)
TW. one year below my age → a year younger than me
TW. She was crushing me → had a crush on(반하다)
반하다(Fall for someone)를 표현하는 영어 표현들:
Have a crush on someone: 누군가에게 일시적으로 강한 호감이나 끌림을 느끼는 것을 의미합니다. 주로 10대들 사이에서 많이 사용되지만, 성인들도 사용합니다.
예: "I have a crush on my coworker." (직장 동료에게 반했어요.)
Fall for someone: 누군가에게 감정적으로 끌리거나 사랑에 빠지기 시작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예: "I fell for him the moment we met." (우리가 만난 순간 그에게 반했어요.)
Be into someone: 더 캐주얼한 표현으로, 누군가에게 관심이 있거나 끌리는 것을 의미합니다.
예: "I'm really into her." (나는 정말 그녀에게 반했어.)
Be smitten with/by someone: 누군가에게 완전히 매료되거나 반한 상태를 의미하는 더 문학적인 표현입니다.
예: "He was completely smitten with her after their first date." (첫 데이트 후 그는 그녀에게 완전히 반해버렸다.)
Be attracted to someone: 누군가에게 신체적 또는 정서적으로 끌리는 것을 나타냅니다.
예: "I'm very attracted to her intelligence." (나는 그녀의 지성에 매우 끌려요.)
YB. I think kept free → the restroom should remain free
YB. Stress happen headache → causes headahces(유발하다)
8PM, BERNARD
HJ. pretend to “I don’t know” → pretend not to know
HJ. I’m gonna forgiveness → forgive
HJ. I’m gonna broke up → break
SH. different movie seen → is being shown
SH. We need to apology → apologize
SH. We were already broke → already broke up
8PM, CHAEEUN
HJ. It was so nervous < made me
TW. I don’t like irregular → irregularity(변칙)
TW. Every people → Everyone
TW. said I must return it → told me I have to return to it
must vs should vs have to:
must: 의무, 필요성을 나타내며 화자의 강한 의지나 확신을 표현합니다. 주로 내부적인 의무감이나 필요성을 나타냅니다. (e.g., "I must study for the exam" - 시험공부를 해야만 한다)
have to: 외부적인 필요나 의무를 나타냅니다. 즉, 상황이나 규칙에 의해 강제되는 의무를 표현합니다. (e.g., "I have to be at work by 9" - 9시까지 직장에 있어야 한다)
should: 조언, 권고, 또는 약한 의무를 나타냅니다. "~하는 것이 좋을 것이다"라는 의미로 "must"나 "have to"보다 덜 강제적입니다. (e.g., "You should eat more vegetables" - 채소를 더 많이 먹는 것이 좋을 것이다)
강도 비교: must > have to > should (강제성/의무감의 정도)
부정형의 차이: "must not"(~해서는 안 된다, 금지)와 "don't have to"(~할 필요가 없다, 선택사항)는 완전히 다른 의미를 가집니다.
HJ. How much cost is it → does it cost, How much is it
TW. I get bleed → I bleed
HJ. I can speak very comfort → comfortably
TW. Much money more important → Having a lot of money is
TW. I’m going to apology immediately → apologize
@3/2/2025
2PM, BERNARD
NR. confess me < ask me out
NR. friends relationship < friendship between us
NR. date with him → date him, have a dating with him
G. boy and girl < man and woman
GE. I * worried about → am
GE. after day → the day after(다음 날)
GE. I have a heavy-mind → I am heavy-hearted(마음이 무겁다), My heart is heavy
SL. long time boyfriend → long-term relationship, long-term male friend(남사친)
SL. don’t have loving mind < have no feelings of love
NR. I want to * natural meaning → have
NR. focus on the book talking → talking about book
G. I’m quite a very I person → introverted
SL. I want natual meet → I prefer natural encounters
GE. in real → reality
GE. I agee with the think → thought, opinion
TW. who using dating apps → the people who use
TW. nothing was work → works
G. had a cry → cried
@3/1/2025
10AM, SEMIN
TW. rest 1 week more than → longer
TW. as college team → in the
TW. Elon Musk is * most creative person → the
TW. He has probability to < the potential
Probability: 확률이나 가능성의 정도를 의미합니다. 주로 수학적인 개념으로 무언가가 일어날 가능성을 수치화할 때 사용됩니다. 예: "There is a high probability of rain tomorrow."
Possibility: 무언가가 발생하거나 존재할 수 있는 잠재적 상황을 의미합니다. 확률보다 덜 구체적이며, 단순히 가능한지 여부를 나타냅니다. 예: "There is a possibility that we might win."
Potential: 아직 실현되지 않은 능력이나 가능성을 의미합니다. 무언가가 발전하거나 성공할 수 있는 역량에 초점을 맞춥니다. 예: "He has the potential to become a great musician."
TW. social network service → social media
TW. I am also think → thinking
TW. pronunciation, I read(past)
TW. at fall → in
JH. at June → in
JH. how much height → high
JH. on weekday → weekdays
NE. go * America → to
NE. I accept → got accepted
NE. I went * LA → to
NE. more focus hobby → focus on hobbies
NE. before * get a job → I, before getting a job
NE. one weeks ago < a week ago
NE. I have to time → need
NE. who make Bitcoin → developed
NE. most of people → most people, most of the people
Most people vs Most of the people:
Most people: 일반적인 사람들에 대해 말할 때 사용합니다. 특정 그룹이 아닌 사람들 전체에 대해 언급할 때 적합합니다.
예: "Most people enjoy music." (대부분의 사람들은 음악을 즐긴다.)
Most of the people: 이미 언급되었거나 특정한 그룹의 사람들에 대해 말할 때 사용합니다. 'the'는 특정 그룹을 지칭합니다.
예: "Most of the people at the concert were dancing." (콘서트에 있던 사람들 대부분이 춤을 추고 있었다.)
NE. lose focusing → focus < lose concentration
Focus vs Concentration:
Focus: 주의나 관심을 특정한 것에 맞추는 행위를 의미합니다. 관심을 특정 대상에 집중하는 행동 자체를 나타냅니다. 예: "I need to focus on my studies."
Concentration: 정신적 노력을 한 지점에 모으는 능력이나 상태를 의미합니다. 지속적인 집중력이나 주의력을 유지하는 상태를 나타냅니다. 예: "I lost my concentration during the exam."
차이점: Focus는 주의를 향하게 하는 방향과 행동을 강조하는 반면, concentration은 그 집중 상태의 강도와 지속성을 강조합니다. "Lose focus"는 방향을 잃는 것을, "lose concentration"은 집중 상태가 깨지는 것을 의미합니다.
NE. Many movie tell about → movies talk
NE. reading book more than 3 → more than 3 books
SM. hospital of a nurse → as a nurse in the hospital
SM. I have to → need
Have to vs Need to:
Have to: 외부적인 의무나 강제성을 나타내는 표현입니다. 외부 규칙, 법률, 상황 등에 의한 의무를 나타냅니다. 누군가 또는 무언가가 당신에게 그것을 하도록 요구하는 느낌이 있습니다.
예: "I have to be at work by 9 AM." (회사 규정에 의해 9시까지 출근해야 함)
Need to: 더 개인적인 필요성이나 내부적인 의무감을 나타냅니다. 상황이나 개인적 판단에 따른 필요성을 강조합니다. 외부적 강제가 아닌 필요성에 중점을 둡니다.
예: "I need to exercise more." (건강을 위해 개인적으로 운동이 필요하다고 느낌)
뉘앙스 차이: 'Have to'는 불가피하고 피할 수 없는 의무를 나타내는 반면, 'need to'는 조금 더 부드럽고 자발적인 의무나 필요성을 나타냅니다. 영어 원어민들은 종종 'have to'를 더 강한 의무로, 'need to'를 개인적 판단에 근거한 필요성으로 인식합니다.
SM. go * America → to
SM. pictures pass out → by
SM. at January → in
SM. I and my husband → My husband and I
SM. bad dream → nightmare
SM. She said me → told
SM. in * book → the
SM. One thing they tell → talk about
SM. When I had working alone → worked
SM. I am hard → It is hard for me
MS. being a bilingualist → bilingual
MS. I’m caring of → about, taking care of
MS. statistic thing → statistical
MS. later one → latter(후자)
12PM, BERNARD
JS. spicy something → something spicy
JS. push my to do things → delay
Delay: 일반적으로 무언가를 늦추거나 연기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의도적이거나 불가피한 이유로 발생할 수 있습니다. 예: "The train was delayed due to bad weather."
Postpone: 계획된 일을 나중 날짜나 시간으로 공식적으로 이동하는 것입니다. 보통 의도적이고 결정된 연기입니다. 예: "We decided to postpone the meeting until next week."
Put off: 비교적 덜 공식적인 표현으로, 일을 나중으로 미루는 것을 의미합니다. 종종 필요하지만 원치 않는 일을 피하는 상황에서 사용됩니다. 예: "He keeps putting off going to the dentist."
Procrastinate: 특히 게으름이나 습관적으로 해야 할 일을 미루는 것을 의미합니다. 부정적인 의미를 가지며 비생산적인 행동으로 간주됩니다. 예: "She always procrastinates when it comes to writing reports."
HJ. I dream a nightmare → have
HJ. Earth is warming → The earth is getting warmer
2PM, SEMIN
SH. working at * company → a, the
SH. 전반적으로 = in general
SH. I was struggle with → struggled
SH. I just not feel guilty → didn’t
SH. The idea remains just * concept → as a
SH. without implement → implementation
SH. I was lived → living. I lived
SH. comparing with Seoul → to
SH. be cold → get, catch a cold
Get cold vs Catch a cold:
Get cold: 추워지는 상태를 말합니다. 주로 온도나 날씨가 낮아지는 것을 의미합니다. 예: "It gets cold in Seoul during winter." (서울은 겨울에 추워집니다.)
Catch a cold: 감기에 걸리는 것을 의미합니다. 질병으로서의 감기를 가리키는 표현입니다. 예: "I caught a cold last week." (지난주에 감기에 걸렸어요.)
SH. came to here → came here
SH. get sweating → sweaty
SY. go to * gym → the
SY. I am a bored person → boring
SY. I sleep more than usual people → ordinary
SY. go down fast → fall
Go down vs Fall down:
Go down: 일반적으로 천천히 또는 의도적으로 아래로 이동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가격, 온도, 해 등이 내려가는 것을 설명할 때도 사용됩니다.
예: "The sun goes down at 6 PM." (해가 오후 6시에 집니다.)
Fall down: 갑자기, 빠르게, 또는 예상치 못하게 아래로 떨어지는 것을 의미합니다. 중력이나 균형 상실로 인한 것일 수 있습니다.
예: "He fell down the stairs and hurt his ankle." (그는 계단에서 넘어져 발목을 다쳤습니다.)
SY. I entered to the elevator → SY. I entered the elevator < took
SY. put eggs and water with microwave oven → in
SY. It was impressived → impressive
SY. past movie → old
JE. many creative person → people
JE. today morning → this
JE. innovation idea → innovative
JE. He said a lot of ideas → gave, came up with
JE. question to travel plans to ChatGPT → ask about the trip
JE. the later one → latter(후자)
JE. They don’t thnk * the → about
SJ. drop out * the school → of
SJ. I find here → found this place
SJ. programmes that make him → he made
SJ. 1화 = first episode
SJ. 복선 = foreshadowing
SJ. 사후세계 = afterlife
SJ. Implement is needed too → Implementation
SJ. I need to so many feedback → so much